서울 국제금융컨퍼런스서 밝혀…"4차 산업혁명 대응 혁신 친화적 금융환경 조성할 것"

최흥식 금융감독원장이 21일 오전 서울 여의도 콘래드호텔에서 열린 서울국제금융콘퍼런스에서 축사를 하고 있다. / 사진=뉴스1

최흥식 금융감독원장이 "불합리하고 불필요한 규제와 관행을 제거한 금융환경을 조성하겠다"고 밝혔다. 4차 산업혁명에 따른 금융 환경 변화에 금감원이 적극 대응하겠다는 의사를 밝힌 것이다.

최 원장은 21일 서울 여의도 콘래드호텔에서 열린 '2017 서울 국제금융컨퍼런스'에 참석해 이같이 말했다.

최 원장은 "국내 금융업이 경험하지 못한 4차 산업협명이 진행되고 있다"며 "변화에 친화적인 금융환경을 조성하고 특히 금융환경 변화에 어려운 취약계층을 위한 금융정책도 함께 진행돼야 한다"고 전했다.

그는 특히 "빅데이터, 블록체인, 생체인식 등 첨단 기술이 금융권의 기존 질서를 위협하는 상황까지 왔다"며 "대면 거래에서 비대면 온라인 영업으로 금융권 변화가 일어나는 것이 대표적"이라고 말했다.

이어 최 원장은 "불합리하고 불필요한 규제, 관행을 버리고 혁신 친화적 금융환경을 조성해야 한다"며 "금융 규제 테스트베드를 안착시키고 인허가 제도를 개선하겠다"고 말했다.

최 원장은 "테스트베드를 도입, 자유로운 혁신 환경을 조성하고 핀테크 기업의 책임있는 혁신을 유도하겠다"고 강조했다.

그는 "금감원은 옛것을 본받아 새것을 만든다는 뜻의 '법고창신'의 자세로 원칙과 기본에 충실할 것"이라며 "주어진 사명에 전념하고 자유로운 금융 질서를 모색하겠다"고 말했다.

이날 행사에는 박원순 서울시장, 박선숙 국민의당 의원, 윤종규 KB금융지주 회장, 이광구 우리은행장, 함영주 KEB하나은행장 등 국내외 금융전문가 300여명이 참석했다.

이번 컨퍼런스는 '4차 산업혁명과 금융의 미래'라는 주제로 열렸다. △금융산업의 미래 : 위기와 기회 △정치적·경제적 초불확실성의 시대, 금융산업의 대응 △해외 금융중심도시의 금융중심지 육성전략 등 3개 세션을 통해 4차 산업혁명과 금융산업의 미래에 관해 토론한다.

저작권자 © 시사저널e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