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월 식품물가 OECD 1.7% ↑, 한국 5.6% ↑…정부, 이달 중 ‘추석 민생안정대책’ 발표

 

서울시내 한 대형마트에서 시민들이 쇼핑을 하고 있다. / 사진=뉴스1

 

식료품 물가가 오르면서 가뜩이나 얇아진 가계의 지갑 사정이 더 어려워지고 있다. 월평균 가계소득은 그대론데 반드시 소비해야 하는 식료품 가격이 급등한 데 따른 것이다. 특히 우리나라의 식료품 물가 상승률은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평균의 3배가 넘는 것으로 집계됐다.

9일 통계청과 OECD에 따르면, 7월 우리나라 식료품 및 비주류음료의 전년동월 대비 물가 상승률은 5.6%로 집계됐다. 이는 OECD 회원국 평균(1.7%)의 3.3배에 이른다. OECD 내에서는 △터키(10.1%) △멕시코(9.7%) △라트비아(6.6%) △체코(5.8%)에 이어 다섯 번째로 높은 수준이다.

이처럼 우리나라 식료품 물가가 다른 나라에 비해 급등한 것은 장마·폭염 등 계절적 날씨 영향으로 보인다. 폭염과 일찍 찾아온 더위 때문에 신선채소 및 과실 물가의  급등세가 지속된 데다, 오징어와 계란 등 가격도 높은 상승률을 이어간 탓이다.

7월 물가 상승률을 보면 우유 및 계란(12.8%), 과일(18.2%), 채소 및 해조(10.5%) 등이 두 자릿수를 기록했다. 세부 품목별로는 살충제 파동 직격탄을 맞은 달걀이 64.8%나 급등했고 오징어(50.8%), 감자(41.7%), 호박(40.5%) 등도 그 뒤를 이으며 높은 상승률을 보였다.

식료품 가격이 급등에 따라 전체 소비자물가 상승률 역시 상승한 것으로 나타났다. 7월 한국의 소비자물가 상승률은 2.2%로 나타났는데, 이는 OECD 회원국 평균인 2.0% 보다 높은 수준이다. 우리나라 소비자물가가 OECD 평균보다 많이 오른 것은 지난해 10월 이후 9개월 만이다. 지난해 10월 한국 소비자물가는 1.5% 올라 OECD 평균인 1.4%에 비해 상승폭이 다소 큰 편이었다.

이에 따라 정부는 이달중으로 추석 민생안정대책을 내놓고 밥상 물가를 잡는다는 방침이다. 이번 대책에는 최근 물가 상승에 대응한 추석 성수품 물가 안정 방안이 담길 예정이다.

기획재정부 관계자는 “생활물가의 안정을 위해 일시 가격 강세를 보이는 채소류 중심으로 출하조절과 생육관리에 나서고 있다​며 ​추석을 대비해 가격 불안 품목에 대한 특별수급대책을 마련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한편 지난 2분기 전국가구 기준 월평균 가계소득은 434만6000원으로 나타났다. 이는 1년전인 지난해 같은 분기보다 0.9% 증가하는데 그쳐 8분기 연속 0%대 증가율에 머물러 있는 상태다. 특히 물가지수를 감안한 실질소득은 1.0% 줄어들면서 7분기 연속 감소세를 보인 것으로 나타났다.  

저작권자 © 시사저널e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