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튜닝 시장 규모 여전히 5000억원 대 머물러…소비자 인식 개선 및 규제 완화에 힘써야
8일 맹성규 차관은 킨텍스에서 열린 제11회 오토모티브 위크에 참석했다. 맹성규 차관은 이날 행사에서 자동차 튜닝, 정비, 부품 관련 서비스 전시관을 관람하고 업계 관계자들에게 독려의 말을 건넸다.
맹 차관은 개막식 축사에서 “새로운 차에만 집중돼 있던 소비자 관심이 차량 유지와 관리에 관한 부분으로 점차 옮겨가고 있다”며 “자동차 부품·정비·튜닝·매매 등을 총망라한 애프터마켓 시장이 성장하고 있다. 정부 정책과 업계도 이 시장으로 눈을 돌릴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국내 자동차 튜닝 시장 규모는 자동차 산업 규모에 비해 작다는 지적은 계속해서 제기돼 왔다. 지난 7월 이형직 중국 광저우무역관이 내놓은 중국 자동차 튜닝 산업동향에 따르면 국내 튜닝시장 규모는 5000억원 정도로 2012년과 비교해 규모 변화가 거의 없었다.
미국, 독일, 중국 일본의 튜닝시장 규모는 각각 32조원, 23조원, 17조원, 14조원에 이르는데, 한국의 튜닝시장 규모는 주요국의 1~2% 수준에 불과하다.
국내 튜닝시장 성장을 가로막는 주요 원인으로 정부의 소비자 인식 개선 노력 부족이 꼽힌다. 국내 소비자들이 자동차 튜닝을 불법 등 부정적 인식을 갖고 있다는 게 업계 분석이다.
실제로 지난해 9월 한국소비자원이 내놓은 자동차 튜닝 시장과 소비자 이슈에 따르면 국내 소비자들은 튜닝에 대해 불신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국내 소비자들은 튜닝 안전성에 65.6점을 주며 튜닝의 안전성에 대해 신뢰하지 못하는 것으로 드러났다.
이밖에 높은 수준의 튜닝규제 또한 튜닝시장 성장 방해물로 지목되고 있다. 정부는 2014년부터 적극적으로 규제를 완화하고 있지만 여전히 주요국에 비해선 부족하다는 지적이다.
이에 따라 업계에서는 이번 맹 차관의 자동차 애프터마켓 시장 강조가 현실적 튜닝 시장 성장으로 이어지길 기대하고 있다.
맹 차관은 이날 “정부는 변화하는 자동차 시장에 발맞춰 불필요한 규제를 개선하는 등 애프터마켓 발전에 필요한 지원을 아끼지 않겠다”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