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찰 담당 부서 통합 후 수사 속도 높일 듯…정치권도 부실시공 문제 제기 적극적
서초동 발 사정 바람 앞에 선 부영이 여의도에서 불어오는 칼바람까지 맞는 상황에 놓였다. 본격적인 검찰 수사를 앞둔 시점에 정치권에서 촉발된 부실시공 논란까지 겹치며 부영은 그야말로 전방위 압박을 받는 모양새다.
현재 부영은 검찰수사 초읽기에 들어간 상태다. 부영에 대한 수사는 크게 두 갈래다. 국세청 조사4국이 이중근 회장 측의 수십억 원 탈세 혐의를 포착해 작년 4월 검찰에 고발한 건과 지난 6월 공정위가 계열사 허위신고 건으로 검찰에 넘긴 건이다. 탈세사건은 비자금 의혹으로 수사가 확대될 수 있다는 점에서, 계열사 허위신고 건은 김상조 호 공정위의 첫 총수고발 건이란 점에서 모두 가벼운 건이 아니다.
서울중앙지검은 최근 두 사건 모두 공정거래조세조사부로 통합해 진행키로 했다. 이전엔 탈세사건은 작년부터 특수 1부에서 맡아오고 있었다. 한 부서로 사건이 통합되면서 지지부진했던 수사가 이제부터 본격적으로 이뤄질 것으로 보인다.
한 사정기관 관계자는 “부영 탈세 건은 작년 특수1부에서 공을 들이고 진행했던 부분으로 어느 정도 수사가 진척된 것으로 알고 있다”며 “부영 수사가 속도를 확실히 받을 것”이라고 전망했다.
이처럼 검찰 칼날 앞에 선 부영은 부실시공 논란으로 정치권까지 신경 써야 할 판이다.
국회 국토교통위원회 소속 정동영 국민의당 의원은 “부영은 주택도시기금의 절반을 독차지하는 특혜를 받아 왔고 정부가 조성한 택지를 원가 이하로 공급받아 왔다”며 국토교통부의 특별점검을 요구하고 나섰다,
남경필 경기도지사 역시 최근 김현미 국토교통부 장관을 만나 도내 10개 부영아파트 건설단지에 대한 특별점검 상황에 관해서도 설명하고 이어 동탄2신도시 부영아파트 현장방문을 요청했다. 김현미 장관도 이를 혼쾌히 받아 들여 직접 가보겠다고 밝혔다.
앞서 경기도는 신축 부영아파트에 대한 품질검수 결과를 도청 홈페이지를 통해 공개했는데 모두 134건의 지적사항이 나온 것으로 알려졌다.
한 재계 관계자는 “이 같은 부영에 대한 부실시공 논란은 검찰 수사 및 국정감사로까지 이어질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어 예의주시 하고 있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