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6개 공공기관, 7개 분야·15개 그룹으로 나눠 같은날 채용시험

서울 강남구 코엑스에서 지난 5월 열린 2017 현대·기아자동차 협력사 채용박람회에서 구직자들이 면접 준비를 하고 있다. / 사진=뉴스1

정부가 올해 하반기 공공기관 합동채용 방식을 확대 도입한다. 정부는 중복 지원에 따른 부작용을 최소화하고 구직 기회를 더 확대하기 위한 조치라는 게 정부의 설명이다. 

 

7일 기획재정부는 2017년 하반기 공공기관 합동채용 방식을 확대하고 유사한 업무 성격을 지닌 공공기관 46개가 같은 날짜에 필기시험을 진행한다고 밝혔다.  

 

이번 공공기관 합동채용에는 기존 정책금융 공공기관 4개사(기은·산은·수은·예보)와 항만 4개사(부산·울산·인천·여수광양항만) 등 ​공공기관 8개 외에 38개가 추가해 총 46개 공공기관이 참여할 예정이다. 

 

기재부는 이번 공공기관 합동채용 방식 확대 도입을 기관 자율참여 원칙에 따라 관계부처와 공공기관들의 의견수렴을 거쳐 협의 후 결정됐다. 

 

올 하반기 공공기관 합동채용은 46개 공공기관들이 7개 분야, 15개 그룹으로 나뉘어 진행된다. 주요 그룹 중 하나인 사회간접자본(SOC) 그룹은 공항, 철도, 도로, 항만으로 세분화된다. 에너지분야는 전기, 발전 등 4개 그룹으로 구분된다. 정책금융 분야는 현재 추진 중인 4개 공공기관 이외에 6개 공공기관이 추가로 참여할 예정이다. 


이미 채용 일정을 공지한 기관이나 소규모 채용 기관 등은 이번 합동채용에서 제외된다. 230여개는 그룹별로 시험일자를 다르게 개별채용 방식으로 진행할 예정이다. 응시기회 급감을 방지하기 위해서다. 

정부는 합동채용 방식 확대를 통해 수험생의 중복합격률이 낮아지길 기대한다. 또 과도한 경쟁률을 완화해 수험자들의 실질적 채용 기회는 확대되고 구직 및 채용 비용은 줄어들 것이라고 전망했다.

앞선 공공기관 설문조사에 따르면 중복합격에 따른 이직자는 지난 2014~2016년 사이 870여명으로 파악됐다. S기관의 경우 올해 상반기 채용에 1만1000명 지원했지만 실제 7000여명만 응시했다. 과다중복 응시로 채용준비에 약 1억2000억원 추가 비용이 발생한 것으로 나타났다. 

기재부 관계자는 “공공기관 입장에선 기관 선호도가 높은 인재를 선발해 합격 후 입사포기, 이직 등에 따른 인력운영 차질을 방지할 것”이라며 “기관별 분산채용에 따른 행정비용도 절감할 수 있다”고 밝혔다.
 

 

저작권자 © 시사저널e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