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융위,靑에 임명 제청…연구분야·실무 두루 거친 금융맨
최흥식 서울시립교향악단 대표이사(65세)가 신임 금융감독원장으로 내정됐다. 첫 민간출신 금융감독원장이다. 금융권은 최 내정자에 대해 “의외의 인물”이라는 평가다.
6일 금융위원회는 최종구 위원장이 진웅섭 금융감독원장 후임으로 최 대표를 임명 제청했다고 밝혔다. 금감원장은 금융위 의결과 금융위원장 제청을 거쳐 대통령이 임명하도록 돼 있다.
최 내정자는 한국금융연구원 원장, 연세대 경영대학 교수 및 하나금융지주 사장 등 오랜 기간 동안 금융분야 주요 직위를 두루 거쳤다. 폭넓은 연구 경력과 실무경험, 전문성을 보유했다는 평가다.
금융위는 최 내정자가 이론과 실무를 겸비해 급변하는 금융환경에 맞춰 금융감독원의 혁신과 변화를 이끌어 갈 적임자로 평가돼 금융감독원 원장으로 제청했다고 밝혔다.
금융권은 최 내정자에 대해 “의외다”라는 평가를 하고 있다. 그동안 신임 금융감독원장에 김조원 전 감사원 사무총장이 유력한 것으로 알려졌기 때문이다.
최종구 위원장은 지난 4일 기자간담회에서 금융과 무관한 김 전 사무총장 내정설과 관련 “금융 문외한이라고 보지 않는다”라고 말했고 금감원 노조도 김 전 사무총장에 대한 환영입장을 내면서 무게도 실렸다.
금융권 관계자는 “금융지주사 출신 인사가 금감원장으로 내정될 것이라고는 상상하지 못했다”며 “이번 정부 금융권 인사는 의외의 인물이 갑자기 내정되는 경우가 많아 앞으로 남아있는 인사도 예측하기 어려울 것 같다”고 말했다.
한편 금감원 노조는 김 전 사무총장 내정설을 환영했던 것과 달리 최 내정자에 대해 반대 입장을 밝혔다. 노조는 “하나은행의 최순실·정유라 불법 지원에 대한 검사 결과가 발표되지도 않았는데 하나지주 사장 출신을 임명하는 게 적폐 청산인가”라며 “금감원장 인사가 금융시장에 혼란만 주고 있다”고 반발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