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년부터 신흥국에 한국형 스마트시티 기술 전파

김현미 국토교통부 장관(왼쪽 세번째)은 지난달 25일 서울 수서역 인근 스마트시티 홍보관 '더 스마티움'을 방문해 국민들의 삶을 변화시키고 있는 다양한 스마트시티 기술과 서비스를 직접 체험했다. / 사진= 국토교통부
국토교통부가 세계은행(WB)과 스마트시티 협력사업을 실시한다. 신흥국에 한국형 스마트시티 사업이 전파돼 국내 업체가 해외진출에 박차를 가할 것으로 국토부는 전망하고 있다.

6일 국토부는 세계은행과 ‘MOLIT-WB 스마트시티 협력사업’을 내년부터 시행한다고 밝혔다. 이번 사업은 세계은행과 국토부가 한국의 스마트시티 기술과 개발경험을 신흥국과 공유하는 내용이다.

스마트시티는 도시개발에 정보통신기술(ICT)을 결합해 주거, 교통 등 도시기능이 효율적으로 연동되는 미래형 도시다. 협력사업은 지난 3월 미국 워싱턴 DC에서 열린 ‘국토부-WB 스마트시티 워크샵’에서 국토부가 제안한 사항을 세계은행이 수락해 추진된다. 

국토부 관계자는 “한국 스마트시티의 우수성을 세계은행에서 인정했다. 아울러 신흥국에 스마트시티 개발경험과 기술 등을 전파하기 위해 함께 구체적인 협력사업을 하기로 한데 그 의미가 있다”고 설명했다.

협력사업은 크게 세가지 분야로 나뉜다. 우선 스마트시티 우수사례와 기술‧솔루션 개발업체 정보를 신흥국에 공유하기 위한 ‘스마트시티 솔루션 포털’이 구축된다. 이를 통해 신흥국이 스마트시티 프로젝트를 진행할 적격업체를 찾는데 더 용이해질 것으로 국토부는 기대하고 있다. 세계은행과 국토부가 국내 우수업체를 소개‧홍보하게 되면 국내 기업의 해외 프로젝트 참여기회가 더욱 확대될 가능성이 높다.

또한 세계은행이 추진하며 개별 국가에서 참여하고 있는 스마트시티 프로젝트에 국내 민관 전문가가 파견돼 기술 컨설팅을 진행한다. 그만큼 국내 스마트시티 기술과 솔루션에 신흥국이 접근하게 될 기회가 높아진다. 

스마트시티 사업 수요가 있는 신흥국 관계자를 초청해 국내 우수 사례에 대한 스터디 투어도 정례적으로 진행된다. 이를 통해 구상 단계인 스마트시티 사업을 보다 구체화할 수 있으며, 신흥국과 우리기업간의 네트워크가 확대될 전망이다.

국토부 관계자는 “이번 협력사업은 한국의 도시개발 경험과 스마트시티 기술을 국제적으로 인정한 것”이라며 “단순 양해각서(MOU)를 넘어 양 기관 공동펀딩을 통해 구체적인 사업을 시행하기로 한데 그 의미가 크다”고 말했다. 이어 이 관계자는 “이번 협력사업을 통해 스마트시티를 발전시켜 온 한국의 경험과 노하우가 세계은행의 국제 네트워크와 결합돼 국내 업체의 해외진출 기회가 확대되는 등 시너지가 클 것”이라고 전망했다.
저작권자 © 시사저널e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