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루 제약사는 6곳 집계…제보자 김모씨 자료 신빙성 높아

그래픽=김태길 디자이너

 

 

최근 논란이 이어지고 있는 서울시 강남구 소재 S클리닉 리베이트 사건을 식품의약품안전처에 앞서 경찰도 수사한 것으로 파악됐다. 이 사건에 연루된 업체는 상위권 제약사 등 총 6곳이다. 

 

1일 제약업계에 따르면 S클리닉 사건은 복수의 제약사들이 연루됐으며, 리베이트 금액도 적지 않은 규모로 파악된다. 이미 식약처 위해사범중앙조사단이 지난달 9일 상위권 C제약사를 압수수색한 사실이 본지 보도로 알려졌다. 앞서 서울지방경찰청 지능범죄수사대가 지난 6월 중순 J제약사를 수사한 사실도 파악됐다. 지수대의 J제약사 수사도 강남 S클리닉 리베이트 건과 관련 있는 것으로 최근 알려졌다. 

 

이번 S클리닉 건에 관련된 제약사는 총 6곳이다. 앞서 언급된 C제약사와 J제약사 외에도 또 다른 J제약사, S제약사, D제약사, H제약사 등이다. 상위권 제약사가 5곳이며, 중위권 제약사가 1곳이다. 

 

이 리베이트 사건은 S클리닉 사정에 밝은 김모 씨가 제보한 것이다. 제보 내용이 구체적이고 자세한 것이 특징이다. 그는 리베이트 제공의 구체적 시기와 금액, 방법 등이 제시된 자료를 갖고 있다. 이를 경찰이나 식약처 중조단에 제출한 것이다.

 

S클리닉의 경우 단순히 10개 병상 규모의 의원급에 그치는 것이 아니다. 원외처방 규모 등을 감안해 제약사들이 수천만원대 리베이트를 제공했다는 의혹을 받고 있다. 모 제약사는 아예 법인카드를 제공해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배려한 것으로 알려졌다. 

 

이같은 리베이트 제공 시기는 지난 2012년부터 2013년까지 2년간이다. 수년전 사안이지만 경찰과 식약처가 동일 리베이트 사건에 착수했다는 것은 김씨 자료가 신빙성이 높고 구체적이며 정확하다는 사실을 방증하고 있다는 분석이다. 

 

여기에 추가로 서울경찰청 지수대의 리베이트 수사 결과가 31일 발표돼 제약업계는 관련 사항에 촉각을 곤두세우고 있다. 이번 지수대의 수사 진행상황은 최근 제약업계에 먼저 알려졌었다. 천안시 소재 J병원 공동원장 4명 사이 내분으로 인해 리베이트 수수가 제보됐다는 내용이다. 

 

지수대에 따르면 리베이트 규모는 1억 7400만원이며, 제공한 제약사는 5곳, 유통업체가 1곳이다. 의사와 제약사 영업사원 등 총 15명은 의료법 및 약사법 위반 혐의로 검거됐다. 해당 업체로는 J제약사와 계열사인 K제약사, H제약사, S제약사, I제약사 등이 업계에서 거론되고 있다. 

 

이처럼 복수의 제약사와 관련된 리베이트 사건들이 이어짐에 따라 제약업계는 전전긍긍하는 모습이다. 한 제약업계 관계자는 “공교롭게 S클리닉 건과 천안 J병원 건 모두 의료기관 내부 분쟁으로 발생했다”라며 “정권 초는 일단 넘겼지만 사정기관의 리베이트 수사는 이어지고 있어 제약사들이 마음을 놓을 수 없는 상황”이라고 말했다.

저작권자 © 시사저널e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