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포·수서·방배 등 지역서…2010년 이후 보상규모로는 8년만에 최대

 

내년 상반기 토지보상이 이뤄질 예정인 서울 강남구 개포동 구룡마을 전경 / 사진=뉴스1

내년에 서울 강남권에서 1조원 규모의 토지보상금이 풀릴 것이라는 전망이 나왔다. 이처럼 강남권에서 대규모 토지보상이 이뤄지는 것은 지난 2010년 강남 세곡, 서초 우면 등 보금자리주택지구 이후 8년 만이다.

28일 부동산개발정보 사이트 '지존'에 따르면, 내년에 서울 강남구 개포동 구룡마을과 서초구 방배동 성뒤마을, 공공주택지구로 지정된 강남구 수서역세권 3곳에서 토지보상이 이뤄질 것으로 보인다.

사업추진이 가장 빠른 곳은 전체 면적 26만6304㎡ 규모의 강남구 개포동 구룡마을이다. 이곳은 개포동 개포주공1단지 뒤편에 위치한 강남지역 대규모 무허가 판자촌인데, 수년 간 일부 주민과의 갈등을 겪으며 사업이 당초 계획보다 지연되고 있지만 현재 사업 시행자인 SH공사가 주민과 토지 보상을 위한 측량과 물건조사를 진행중이다. 감정평가를 거쳐 늦어도 내년 상반기 중 토지 보상을 시작한다는 방침이다. 이곳 주거용지에는 오는 2020년 임대주택 1107가구가 포함된 최고 35층, 총 2692세대 아파트가 들어설 계획이다.

13만7700㎡의 서초구 최대 판자촌인 성뒤마을 공공주택지구도 내년 10월 지구 지정 이후 토지 보상이 이뤄질 전망이다. 당초 이곳은 서초구와 한국토지주택공사(LH)가 글로벌타운을 조성할 계획이었지만 무산됐다. 현재는 SH공사가 공공주택 600가구, 민간주택 600가구의 택지지구 조성을 계획 중이다.

강남구 수서와 자곡동 일대의 수서역세권 공공주택지구도 내년 6월 께 토지보상이 이뤄질 것으로 보인다. 38만6390㎡ 규모로 지난해 6월 지구지정에 이어 올해 7월 한국토지주택공사와 한국철도시설공단이 국토교통부에 지구계획 승인을 신청했다. 철도시설을 중심으로 업무, 상업, 주거 기능이 더해지는 역세권 복합개발이 추진되며 연내 지구승인이 이뤄지면 이후 감정평가를 거쳐 내년 6월에 보상금이 나올 것으로 예상된다.

이외에 강남은 아니지만 서초구와 접해있는 과천시 주암동 기업형임대주택 공급촉진지구(92만9080㎡)도 지구계획 승인을 거쳐 내년 하반기 토지보상에 착수한다. 구체적인 보상액은 미정이다.

토지보상금이 부동산 시장에 미칠 영향도 주목된다. 신태수 지존 대표는 “8·2 부동산 대책에 따른 영향 등에 따라 강남지역 아파트 시장에 미치는 영향은 제한적일 것”이라며 "토지보상금은 대토보다는 수익형 부동산에 재투자될 가능성이 높다"고  내다봤다.  

저작권자 © 시사저널e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