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국 분양물량 50% 급증에 주거복지로드맵 발표까지 ‘엎친데 덮친격’
주택시장이 8월에 이어 9월에도 시련을 겪을 것으로 보인다. 건설사들이 그동안 미뤄온 사업장 분양을 서두르면서 분양 예정물량은 급증한 데다가 정부의 주거복지로드맵 발표까지 예고돼 있어서다.
주거복지로드맵은 규제에 초점을 맞추고 있지는 않지만 부동산 추가 대책 윤곽이 동시에 드러날 가능성도 있는 만큼, 분양시장에서는 겹악재로 받아들이고 있다.
22일 부동산업계에 따르면 9월 전국 분양 물량은 2만1000여 가구로 집계됐다. 지난해 같은 기간과 비교할 때 52.7% 급증한 수치다. 특히 서울과 인천, 경기도 등 수도권 분양 물량은 지난해 9월과 비교할 때 180.7% 늘어난 7300여가구에 이를 것으로 예상된다.
전국적으로 나타났던 주택시장 과열현상은 지난 8·2 대책 발표를 기점으로 서서히 진정세를 보이고 있다. 심리적 위축에 비해 실질적 가격둔화는 뚜렷하지 않지만, 이미 거래둔화가 시작됐기 때문에 전문가들은 머지않아 가격 하향조정으로까지 이어질 것으로 내다보고 있다.
여기에 9월 분양 물량이 대폭 증가한다는 점도 부동산 시장을 흔들 변수로 떠올랐다. 급증한 신규 분양물량이 시장에서 쉽게 소화되지 않을 가능성이 높기 때문이다.
뿐만 아니라 다음달로 예정된 정부의 주거복지로드맵 발표도 대규모 분양을 앞둔 주택시장에는 부담으로 작용한다. 주거복지로드맵에는 △신혼희망타운 5만 채 조성 △공적임대주택 연 17만 채 공급 △임대사업자 세제 혜택 확대 △임대주택 등록 의무화 방안 등과 관련된 구체적인 내용이 담길 것으로 보인다.
신혼희망타운은 일정 소득 이하의 무주택 신혼부부에게 주변 시세의 80% 수준으로 공급하는 분양형 공공주택이다. 공공주택 확충으로 신규 주택시장 청약심리는 위축될 수밖에 없다. 문재인 대통령의 취임 100일 기자회견이 있던 지난 17일 ‘주머니 속 더욱 강력한 카드’를 언급하며 부동산 추가규제를 예고로 언제 추가 규제가 발표될 지도 부담이다.
이런 공급과잉과 심리적 위축이 더해지며 주택 분양시장 상황은 더욱 악화할 것이라는 관측도 나온다. 한 분양업계 관계자는 “많은 건설사들이 부동산대책의 변수로 분양 일정을 조정했기 때문에 또 다시 미루기 부담스러운 상황”이라며 "건설사 입장에서 보면 상황이 더 나빠지기 전 분양하자는 심리가 강해질 것"이라고 내다봤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