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조 "낙하산 반대" vs 부산참여연대 "엘시티 관련없는 회장 와야"

BNK금융지주의 차기 회장 후보자 선임이 9월8일로 연기됐다. / 사진=뉴스1

BNK금융지주가 차기 회장 후보 선출을 또 다시 미뤘다. 

 

BNK금융 임원후보추천위원회(임추위)는 21일 저녁 7시부터 22일 자정 넘어까지 장시간에 걸쳐 최종 후보 선정 회의를 열었으나 끝내 결론을 내지 못했다. 임추위는 다음달 8일에 다시 열기로 했다. 

 

이번 회의에서도 차기 회장 후보 선정에서 임추위 의견이 서로 대립한 것으로 나타났다. 박 회장 대행과 김 전 부회장을 뽑자는 임추위원이 반반으로 나뉘어 맞선 것이다. 

 

이에 어느 한 후보도 임추위원 6명 가운데 과반의 지지를 얻지 못하는 상황이 이어졌다. 임추위는 결국 타협점을 찾지 못한 채 해산했다. 


이에 BNK금융지주는 성세환 전 회장이 주가조작 협의로 구속된 4월 이후부터 회장 부재가 길어지면서 최고경영자 공백이 장기화하고 있다.

한 금융권 관계자는 "성 전 회장이 은행장도 겸직하면서 BNK금융 전체에 최고경영자 장기 부재 사태로 이어질 것이라는 우려도 나온다"고 말했다. BNK금융은 회장, 이사회 의장, 부산은행장, 부산은행 이사회 의장 등 자리가 공석이다.

임추위와 BNK금융 내외부에선 박 회장대행과 김 전 부회장을 두고 대립 구조가 형성되고 있다. 박 회장 대행을 지지하는 측은 내부 관계자를 선임해 낙하산 논란이 없어야 한다고 주장한다. 김 전 부회장을 지지하는 측은 이는 오히려 순혈주의 비판을 불러온다며 조직 혁신을 위해선 외부 금융전문인이 필요하다고 주장한다.

특히 박 전 부회장을 지지하는 측은 성 전 회장이 주가조작 혐의로 구속되고 지난해 전 정부 하에서 엘시티 특혜 대출 의혹을 불러와 조직 이미지를 실추시켰다고 주장한다. 순혈주의를 고집할 때가 아니라는 지적이다.

부산지역 시민단체들도 서로 다른 목소리를 내고 있다. 부산은행 노조와 시민단체는 김 전 부회장을 정치권과 연관 있는 낙하산 인사로 지목하고 강하게 반발하고 있다.
 

왼쪽부터 박재경 BNK금융지주 회장 대행, 김지완 전 하나금융지주 부회장

반면 부산참여연대는 서명을 통해 내부 문제를 비판할 수 있는 책임 있는 인물이 회장이 돼야 한다고 입장을 밝혔다.

 

부산참여연대는 "각종 기관의 낙하산 인사에 대해 원칙적으로 반대하지만, 부산은행의 경우는 상황이 좀 다르다"며 "BNK 금융지주 회장과 부산은행장을 겸임했던 이장호, 성세환씨가 엘시티에 대출한 1조1500억원은 내부 기준도 명확하지 않은 특혜 대출이다"라고 말했다.

이어 "부산은행 내부에서는 책임지는 자세는 어느 누구도 취하지 않았다. 내부 비판과 반성조차 없었다"며 "내부 문제를 비판하고 해결할 수 있는 전문가, 엘시티 대출과 관련 없는 사람이 BNK금융 회장이 돼야 한다"고 강조했다.

임추위가 다음 회의를 다음달 8일로 연기함에 따라 같은 날로 예정됐던 신임 회장 선임 목적의 임시주주총회는 다음달 27일로 미뤄졌다. 주총을 열기 2주일 전까지 안건을 주주에게 알려야 하지만 최종 후보가 선정되지 못해 안건을 올릴 수 없기 때문이다.

 

저작권자 © 시사저널e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