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 아파트 매매가격 평균 주간 상승률도 2주 연속 둔화

 

서울아파트 주간 평균 상승률 그래프 / 자료=kb국민은행

 

 

정부의 8·2 부동산 대책 발표 효과가 서서히 가시화되는 모양새다. 투기지역으로 지정된 서울 강남구와 서초구 아파트값이 반년 만에 하락세로 돌아섰다. 

 

다만 시장에서는 주택담보대출을 받기가 여의치 않자 신용대출로 일종의 풍선효과로 보는 시각이 우세하다. 8·2 부동산​ 대책의 실제 효과는 좀 더 시간을 두고 지켜봐야 한다는 요지다.

 

21일 국민은행에 따르면, 이달 14일 기준 서울 아파트 매매가격 평균 주간 상승률은 0.05%로 2주 연속 둔화했다. 서울 아파트값은 8·2 대책이 발표 직전인 7월 31일 조사 기준 전주 대비 0.37% 올랐으나, 대책 발표 직후 이달 7일 0.08%로 상승률이 둔화된 데 이어 또 다시 상승폭이 줄어든 것이다.

특히 강남·서초구 아파트값은 전주 대비 0.01% 내려 27주 만에 하락 반전했다. 강남구·서초구의 아파트값이 전주보다 하락한 것은 올해 1월 30일(각각 -0.02%, -0.01%) 이후 처음이다.

강남구 아파트값은 8·2 대책이 발표되기 직전이 지난달 31일 조사에서 전주 대비 0.36% 뛰었으나 8·2 대책 발표 직후인 이달 7일 0.06% 상승하는 데 그쳤다.

강남·서초구 외에도 투기지역으로 지정된 노원구 아파트값도 일주일 전과 비교해 0.01% 하락했다. 노원구 아파트값이 하락한 것은 지난해 1월 이후 1년 6개월여 만이다.

8·2 대책 발표 직전인 지난달 31일 기준 각각 0.54%, 0.45%의 주간 상승률을 기록했던 강동·송파구는 14일 기준 0.02%, 0.01%로 상승률이 크게 낮아졌다. 성동·서대문·종로구는 상승세가 멈추며 1주일 전과 같은 가격으로 거래된 것으로 조사됐다. 지난달 31일 기준 이들 지역의 평균 주간 상승률은 각각 0.20%, 0.26%, 0.15%를 기록했다.

투기지역으로 지정된 세종시의 아파트값 역시 8·2 대책 발표 후 2주 연속 제자리걸음을 했다. 지난달 31일 기준 세종시 아파트값 상승률은 0.58%였다.

이에 따라 대출, 거래, 세금 등 전방위에서 투기세력을 겨냥한 8·2 대책이 효과를 발휘하고 있는 것이 아니냐는 분석이 나온다. 8·2 대책에서 정부는 강남·서초·노원구를 비롯해 송파·강동·영등포·강서·양천구 등 서울 7개 자치구와 세종시를 투기지역으로, 서울 전역과 경기 과천, 세종시를 투기과열지구로 지정했다.

 

투기지역·투기과열지구 내에서는 재건축·재개발 조합원 지위 양도가 불가능해지고, 투기지역과 투기과열지구에서는 주택담보대출의 담보인정비율(LTV)과 총부채상환비율(DTI)이 40%로 제한된다.

저작권자 © 시사저널e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