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우건설 매각 앞두고 부담 느낀 듯…노조, 산업은행에 대한 감사청구 감사원에 제기
박창민 대우건설 사장이 사임의사를 밝혔다고 대우건설이 14일 밝혔다. 박사장은 대주주인 산업은행 측에 사의 표명을 한 것으로 알려졌다. 박 사장은 회사가 연내 매각일정이 잡힌 상황에서 ‘최순실 낙하산 논란’이 커지는 것에 부담을 느껴 사퇴를 결심한 것으로 전해졌다.
대우건설 노조는 최순실씨가 인선에 개입했다는 주장을 제기했다. 대우건설 관계자는 “박 사장의 선임과정에 대한 논란이 일면서 일각에서 박 사장의 사임과 대우건설의 매각절차 중단을 요구했다”며 “‘CEO 리스크’로 인해 진행 중인 매각작업에 차질을 빚을 것을 우려해 자진사임을 결심하게 된 것으로 보인다”고 밝혔다.
박 사장의 최순실 낙하산 의혹이 제기된 것은 박 사장 선임에 최순실이 적극 개입한 정황이 박영수 특검에 의해 드러난 이후다. 박영수 특검팀은 지난해 7월 1일 이상화 전 KEB하나은행 본부장의 휴대전화에서 최씨에게 박 사장을 대우건설 사장으로 추천한 문자메시지를 찾았다. 이 본부장이 자신들과 소통이 원활하다는 이유로 박 사장을 대우건설 사장에 추천한 것으로 밝혀졌다. 문자메시지가 전해진 직후 직전 후보군을 제외하고 대우건설 사장 후보 재공모가 이뤄져 지난해 8월 박 사장이 대우건설 사장에 올랐다.
노조 측은 최근 대우건설의 대주주인 산업은행에 대한 감사청구를 감사원에 제기했다. 아울러 회사의 매각절차 중단을 요구했다. 앞서 노조 측은 “검찰수사에서 밝혀진 최순실의 행태를 미뤄볼 때 민간기업 사장인선에 개입했다는 것은 이권을 챙기려는 의도”라며 “대우건설을 매각한다는 것은 박창민을 사장으로 낙점하면서 설계했을 가능성이 있는 최순실의 계획이 그대로 실행되는 것”이라고 주장했다. 이같은 의혹이 증폭되면서 박 사장이 압박감을 느낀 것으로 분석된다.
이로 인해 박 사장은 취임 1년 만에 최고 경영자 자리에서 물러나게 됐다. 앞서 박 사장은 지난해 8월 취임할 당시 ‘낙하산 논란’을 빚었다. 해외건설 부문 경력 부족을 이유로 노조 측이 “정치권의 뒷배가 작용했다”는 의혹을 제기했다.
대우건설 측은 박 사장 사임에 따른 경영공백을 최소화할 계획이다. 정관 및 이사회 규정에따라 송문선 최고재무책임자(CFO)가 사장 직무를 대행해 조직 및 수행 중인 사업을 관리하게 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