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출 떨어질까 내부선 쉬쉬”…MB정부 적폐청산까지 연계될듯

서울 수송동 서울지방국세청 건물에 국세청 깃발이 나부끼고 있다. / 사진=뉴스1

 

롯데그룹 계열사 롯데홈쇼핑과 롯데닷컴이 최근 강도 높은 세무조사를 받고 있는 것으로 확인됐다. 문재인 정부 아래 이뤄지는 롯데그룹 사정(司正)​ 드라이브에 시동을 거는 신호탄이 될지 관심이 쏠린다.


9일 재계 등에 따르면 롯데홈쇼핑은 이달 2일부터, 롯데닷컴은 지난달 31일부터 국세청의 세무조사를 받고 있다.

명목상 정기 세무조사지만 지난해 신격호 총괄회장 등 오너 일가가 수백억원대 횡령·배임 사건으로 기소된 바 있어 내부에서는 긴장의 끈을 놓지 않는 분위기다.

특히 롯데홈쇼핑의 경우 국세청 ‘첨단탈세방지센터’ 직원들도 조사를 나온 것으로 전해졌다. 첨단탈세방지센터는 컴퓨터를 이용한 범죄 등 지능적 탈세를 일삼는 악덕 납세자를 적발하기 위한 부서다. 롯데닷컴에 대기업을 담당하는 국세청 조사1과 직원들만 나온 것과는 대조적이다.

그룹 내부 관계자는 “롯데홈쇼핑 대표이사와 롯데닷컴 부사장을 지낸 강현구 전 사장이 오너 비자금 조성 건으로 재판을 받고 있는 상황에서 첨단탈세방지센터 조사를 눈여겨보고 있다”고 전했다.

또 다른 관계자는 “기업은 이미지가 중요한데 지난해 오너 일가 사태와 국정농단 사건 이후 매출이 급감했다”면서 “정기 세무조사라도 말이 새나가지 않도록 주의하는 분위기”라고 말했다.


롯데 계열사에 대한 세무조사가 지난 정부의 ‘적폐청산’을 강조하는 문재인 정부의 대대적 사정 신호탄이 될지는 또 다른 관심사다. 롯데는 효성과 함께 MB정부 때 특혜를 입은 ‘친MB 기업’으로 꼽힌다. 


사실 롯데그룹은 박근혜 정부 시절부터 높은 견제를 받아왔다. 두 차례 면세점 재선정에서 탈락했고 2013년 롯데쇼핑 등 주요 계열사가 1년여에 걸쳐 대대적인 세무조사를 받았다. 지난해 4월과 8월에는 롯데건설과 롯데케미칼이, 올해 2월에는 호텔롯데가 각각 세무조사를 받기도 했다. 

 

지난해 6월부터 시작된 그룹에 대한 검찰의 전방위 압수수색은 4개월이나 진행됐고, 총수일가 5명과 전문경영인 등 총 24명이 재판에 넘겨진 상황이다.

마무리 국면으로 접어든 줄 알았던 롯데그룹 사정은 문재인 정부 들어 다시 속도를 내고 있다. 지난해 검찰 수사 당시 미완으로 끝났던 제2롯데월드 사업이 최근 주목받는 탓이다. 청와대는 지난달 국가안보실 캐비닛에서 MB 정부 문건을 발견했는데, 이 중 제2롯데월드 인·허가 관련 내용이 포함된 것으로 알려졌다.


제2롯데월드는 건설 초기부터 성남비행장 이착륙 비행기 안전성 문제 등으로 허가를 받지 못했다. 하지만 2008년 이명박 전 대통령이 제2롯데월드 신축 방안 모색을 지시했고, 결국 공항 활주로 각도를 바꿔가며 신축 허가가 났다. 청와대는 해당 문건을 분석해 위법사안이 있을 경우 별도 조치를 취한다는 계획이다.

청와대가 캐비닛에서 발견된 문건을 토대로 ‘박근혜-최순실 국정농단’ 등의 진상을 추가로 파헤치는 상황에서, 이명박 정권과 관련된 기업에까지 사정 칼날을 겨눌 지 주목된다.


한편, 롯데홈쇼핑과 롯데닷컴 측은 시사저널e 보도가 나간 직후 ​2012년 세무조사 이후 정기적으로 받는 세무조사​라고 입장을 밝히며 확대 해석을 경계했다.

 

 

저작권자 © 시사저널e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