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기부·창업진흥원 조사…고용증가율 일반기업의 5~6배
국내 창업 기업 중 정부 지원을 받은 기업의 일자리 창출 효과가 일반 기업보다 더 큰 것으로 나타났다.
창업사관학교 등 창업지원사업 혜택을 받은 기업은 평균 고용증가율이 19.3%에 달했으며 연평균 4.1개 일자리를 만들어낸 것으로 집계됐다. 대기업이나 일반 중소기업의 5~6배에 달하는 수준이다.
9일 중소벤처기업부와 창업진흥원은 ‘2016년 창업지원기업 이력·성과 조사’ 보고서에서 2009~2015년 정부 창업지원사업 효과에 대해 이같이 밝혔다. 조사 대상은 청년 창업가 지원 프로그램인 ‘청년창업사관학교’ 등 창업 지원을 받은 기업 총 1만2996개로 이뤄졌다.
같은 기간 창업 지원 기업 고용증가율도 평균 19.3%로 중소기업의 5.4배, 대기업의 5.8배에 달했다. 대기업과 일반 중소기업 연평균 고용증가율은 각각 3.3%, 3.6%로 집계됐다.
고용뿐 아니라 매출액 증가율도 크게 늘었다. 이 기간 지원기업의 평균 연간 매출은 5억800만원으로 조사됐다. 매출 증가율은 연 평균 20.7%다. 2015년 기준 일반 중소기업의 매출액 증가율 (8.0%)보다 2.6배 높은 증가율이다. 대기업은 2015년 -4.7%로 마이너스 성장을 기록했다.
다만 지원 기업의 부채비율은 일반 기업보다 높았다. 정부지원 기업은 기업당 연 평균 4억1800만원 부채를 보유한 것으로 드러났다. 2015년 기준 부채비율은 324.4% 였다. 이는 일반 중소기업(182.0%)과 대기업(107.7%)보다 높은 수준이다.
한편 문재인 정부는 중소기업청을 중소기업벤처부로 승격하는 등 창업기업 지원 대폭 늘리고 있는 추세다. 창업 모태펀드에 하반기 추경 8000억원을 편성해 약 1조3000억원대 벤처펀드가 조성될 예정이다. 또한 정부는 창업지원제도와 정보기술(IT) 분야도 육성할 것이라는 계획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