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우건설·삼성ENG·SK건설, 오만, 이란서 플랜트 관련 대형공사 수주
저유가로 중동지역에서 건설수주가 악화되는 와중에 건설사들이 잇달아 승전보를 울리고 있다. 대우건설, 삼성엔지니어링은 오만에서 초대형 정유시설 공사를, SK건설은 이란에서 정유공장 현대화 사업을 추진한다.
7일 대우건설은 오만에서 스페인 EPC(설계‧구매‧시공) 업체인 테크니카스 레우디나스와 조인트벤처로 총 27억5000만 달러(한화 약 3조1000억원) 규모의 두쿰 정유시설 1번 패키지 공사를 수주했다고 밝혔다.
대우건설은 테크니카스 레우디나스와 설계‧구매‧시공을 공동수행한다. 대우건설의 지분은 35%에 해당하는 9억6250만 달러(한화 약 1조800억원) 규모다. 공사기간은 착공 후 47개월이다.
해당 시설은 오만 국영석유공사와 쿠웨이트 국제석유공사 간 합작회사인 DRPIC가 발주했다. 두쿰 정유설비는 일일 원유 생산량이 23만 배럴에 이를 전망이다. 설비 완공 시 오만에서 가장 큰 규모의 정유공장이 된다.
대우건설의 이번 수주에는 과거 오만에서 공사수행 이력이 보탬이 됐다. 이 회사는 지난 1999년 방파제 공사, 2011년 두쿰 수리조선소, 2015년 오만에서 가장 큰 2000MW급 발전소를 완공한 바 있다.
대우건설 관계자는 “오만 두쿰 프로젝트는 당사의 오만 공사 수행경험을 바탕으로 충분한 사업여건 및 리스크 검증을 거친 수익성이 기대되는 사업이다. 앞으로 입찰진행 중인 두쿰 발전소, 담수화시설 공사나 발주 예정인 대형 석유화학 플랜트사업 등 수익성이 확보되는 양질의 해외사업을 적극적으로 추진할 것”이라고 밝혔다.
삼성엔지니어링도 오만에서 수주낭보를 전했다. 7일 삼성엔지니어링은 대우건설이 수주한 오만 정유시설 공사 2번 패지키 기반시설 공사(공사 총액 약 20억 달러, 한화 약 2조2000억원)에 대한 수주통지서(ITA)를 접수한 사실을 밝혔다. 영국 EPC 업체인 페트로팩과 조인트 벤처 형식으로 사업을 진행한다. 이중 삼성엔지니어링의 지분은 50%인 1조1260억원이다.
삼성엔지니어링은 패키지 공사를 통해 물과 공기, 스팀 및 전력을 생산하는 유틸리티 생산 설비, 하수처리시설 등을 건설한다. 턴키 방식으로 진행되며 오는 2021년 완공 예정이다.
SK건설도 대형 플랜트 공사를 수주했다. 이 회사는 현지시각으로 5일 이란 최대 민영 에너지회사인 파르시안 오일앤가스의 자회사인 타브리지 정유회사가 발주한 타브리즈 정유공장 현대화사업의 기본계약을 체결했다. 총 공사금액은 16억달러(한화 약 1조7000억원) 규모다.
이번 공사로 타브리즈 정유공장은 현대화 시설을 갖추게 된다. 이 공장은 이란 수도 테헤란에서 북서쪽으로 600km 가량 떨어져 있다. 최근 강화된 환경규제로 현대화 필요성이 제기됐다.
SK건설은 가솔린, 디젤, 윤활기유 등 친환경 고부가가치 석유제품 생산량을 늘리기 위한 공사를 이란 EPC 업체인 ODCC와 진행한다. 턴키 방식으로 진행되며 공사시간은 착공 후 36개월이다.
서석재 SK건설 전무는 “이번 프로젝트를 통해 이란 국영정유회사, 최대 민영 에너지회사와 인연을 맺게 됐다”며 “오일‧가스플랜트 분야 기술력을 토대로 사업을 성공적으로 마무리해 앞으로 이란에서 더 많은 사업기회를 확보하겠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