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비자원 수거 20종중 8종, 배터리 폭발·발화 위험…프로펠러로 인한 상해 막을 안전가드 없는 제품도

1일 오전 서울 송파구 한국소비자원 서울지원에서 열린 시중 판매 중인 취미-레저용 드론 20개 제품에 대한 안전실태조사 결과 발표에서 안전가드의 보호범위가 미흡한 드론들이 전시되어 있다./사진=뉴스1

 

저렴한 가격으로 인기가 높은 취미·레저용 드론 보급이 최근 늘면서 일부 제품의 배터리가 폭발할 위험이 있어 대책마련이 시급한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소비자원은 구매빈도가 높은 취미·레저용 드론 20개 제품의 배터리와 드론 본체 안전성을 조사한 결과 일부 제품에서 폭발하거나 화재가 발생할 수 있다고 1일 밝혔다.

이번 조사결과 20개 제품에 모두 리튬폴리머 배터리가 장착돼 있었으며 이 중 8개 제품(40.0%) 배터리에 보호회로가 없었다. 충전 시 용량 이상으로 폭발하거나 불이 붙을 수 있다.

실제로 보호회로가 없는 1개 제품에서 시험 중 폭발‧발화가 발생했다.

드론의 프로펠러로 인해 발생할 수 있는 상해사고 등을 예방하는 안전가드가 없는 제품도 4개였다. 9개 제품에는 안전가드가 있었지만, 프로펠러 회전 반경보다 작거나 설치 높이가 낮아 예방 효과를 기대하기 어려웠다.

심지어 일부 제품의 온라인 광고에는 안전가드가 사물과의 충돌 시 기체 또는 프로펠러를 보호하기 위한 용도라고 설명하고 있었다.

비행 중인 드론이 추락하게 되면 사람이나 차량과 충돌할 위험이 크지만 19개 제품은 조정 거리를 벗어나면 아무런 경고 없이 추락했다.

17개 제품 송신기에 배터리 방전 경고 기능이 없어 비행 중에 배터리가 방전되면 갑자기 추락할 우려가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조종자 준수사항을 모두 표시한 제품은 2개에 불과했다. 10개 제품에는 어떤 표기도 하지 않았다.

드론은 '항공안전법'에 의해 야간비행이 금지된다. 하지만 일부 오픈마켓 등에서 판매되는 드론에는 '야간비행 가능'등의 광고가 이뤄지고 있는 것으로 확인됐다.

한편 드론 안전사고는 해마다 느는 추세다. 올해 1월부터 5월까지 소비자원 소비자위해감시시스템에 접수된 드론 안전사고는 총 12건으로,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4배나 늘었다. 2015년에는 11건이 발생했다.

사고 원인으로는 드론 충돌이 23건으로 가장 많았고 배터리 폭발·발화 9건, 드론 추락 8건 등이 뒤를 이었다.

소비자원은 조만간 관련 부처에 드론 본체와 리튬배터리 안전기준을 마련해 줄 것을 건의할 예정이다.

저작권자 © 시사저널e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