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축 인허가, 착공면적 각각 4.9%, 10.9%↓…주거용 건축물이 감소세 주도

올 상반기 전국 건축물 인허가 현황 / 자료= 국토교통부
건설경기를 가늠하는 선행, 동행지표가 상반기 모두 하락했다. 주거용 건축물을 중심으로 지표가 부진했다. 부동산 시장 경기 하강에 앞서 건설사들이 주거용 건축물 인허가 면적을 줄인 결과다.

1일 국토교통부에 따르면 올 상반기 전국 건축 인허가 면적과 동수는 각각 8326만6000㎡, 13만461동으로 나타났다. 전년 동기와 비교하면 인허가 면적은 4.9%, 동수는 2.9% 감소한 수치다.

모든 권역에서 인허가 면적이 감소했다. 상반기 수도권 건축물 인허가 면적은 3612만8000㎡로 전년 동기 대비 8.1% 하락, 지방 인허가 면적은 3713만7000㎡로 같은 기간 2.3% 감소했다.

건설경기 동행지표인 건축물 착공면적도 약세다. 상반기 전국 건축물 착공면적은 6142만4000㎡로 전년 동기 대비 10.9% 감소했다. 권역별로 수도권은 2871만300㎡로 1년 새 7.2% 하락, 지방은 3271만1000㎡로 같은 기간 14% 감소했다.

주거용 건축물이 인허가 및 착공 면적 감소를 이끌었다. 상반기 전국 주거용 건축물의 인허가‧착공면적은 각각 3430만7000㎡, 2291만4000㎡로 나타났다. 인허가 면적과 착공면적은 전년 동기 대비 각각 12.9%, 21.6% 감소했다. 같은 기간 인허가 및 착공 면적이 감소한 타 건축물 대비 감소폭이 컸다.

부동산 시장 경기하강을 앞두고 건설사들이 인허가 면적을 축소한 결과다. 올 하반기부터 미국 금리인상, 추가 부동산 규제, 입주물량 공급과잉 등으로 부동산 시장이 위축될 수 있다는 전망이 나온다. 이에 건설사들이 리스크 관리를 위해 선제적으로 주택 인허가 면적을 줄인 결과 후행지표인 착공면적도 감소했다.

한편 건설경기 후행지표인 준공면적은 증가했다. 올 상반기 전국 건축 준공면적은 전년 동기 대비 11.7% 증가한 6622만4000㎡로 나타났다. 권역별로 수도권, 지방 준공면적은 1년 새 각각 8.9%, 13.9% 증가했다. 

대다수 건축물에서 준공면적이 증가했다. 주거용, 상업용, 공업용 건축물 준공면적은 각각 9.2%, 9%, 22.8% 증가했다. 반면 문교사회용 건축물은 1년 새 18.1% 감소했다.

세부자료는 건축행정시스템 세움터(http://www.eais.go.kr) 및 국토교통부 홈페이지(http://www.molit.go.kr)을 통해 확인할 수 있다.
저작권자 © 시사저널e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