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상공인 등 업계 의견 청취… 56억원 규모 중기협력펀드도 조성

 

24일 중기청은 최저임금 인상 대책에 대한 정책협의회 태스크포스(TF)팀을 구성한다고 밝혔다. / 그래픽=조현경 디자이너

 

중소기업청이 최저임금 인상에 따른 지원대책을 세우기 위해 나섰다. 협의회에는 소상공인연합회, 업종별 협단체 대표 등이 참여한다. 각 업계 관계자들로 구성될 예정인 정책협의회는 이달 말 첫 회의를 계획하고 있다.

24일 중소기업청은 최저임금 인상 대책에 대한 정부와 업계, 전문가가 참여하는 정책협의회 태스크포스(TF)팀을 구성한다고 밝혔다. 이는 내년도 최저임금이 오르면서 피해를 겪을 중소기업을 위해 업계 의견을 수렴하고 정책에 반영하기 위한 것이다. 정책협의회에는 소상공인 업계를 대표하는 법정 단체인 소상공인연합회와 업종별 단체 대표, 교수 등 전문가 그룹이 참여한다.

이번 정책협의회는 정부대책 발표 후에도 업계 우려가 계속되면서 사업별 추진과제와 기대효과를 설명하기 위해 만들어졌다. 특히 최저임금 인상에 따른 대안으로 주목하는 '일자리 안정자금 지원' 등에 대한 의견을 나눌 예정이다.

전국단위 정책협의회와는 별도로 이번 주부터 12개 지방중소기업청 단위로 지역 소상공인 및 영세 중소기업의 의견수렴을 위한 지역별 간담회도 개최된다. 또 정책협의회, 지역별 간담회 등을 통해 수렴한 의견을 일자리 안정자금 지원을 위한 정부 태스크포스가 마련할 지원방안에 반영되도록 할 예정이다.

중소기업청 관계자는 “협의회는 정부와의 일원화된 공식 소통채널의 역할을 하며 소상공인들이 소상공인연합회에 제출한 다양한 요구를 정책에 반영할 계획”이라며 ​필요한 경우 기존 최저임금 지원 대책에 대한 보완방안을 마련해 소상공인 및 영세 중소기업을 지원하겠다​고 말했다. 


한편, 이날 아울러 중소기업청은 한화테크윈, 현대홈쇼핑, 대·중소기업·농어업협력재단과 공동으로 ‘민관 공동투자 기술개발(R&D) 협력펀드’를 조성한다고 밝혔다. 총 규모는 56억원으로 한화테크윈이 25억원, 현대홈쇼핑이 3억원을 부담한다. 중소기업청이 기업과 1대1 매칭으로 같은 액수를 출자한다.

민·관 공동투자 기술개발 협력펀드는 지난 2008년 조성됐다. 주로 중소기업 기술개발과 생산성 향상·인력개발 등에 투자하는 펀드다. 중기청과 투자기업이 서로 매칭해, 향후 개발에 성공한 제품은 투자기업이 구매하는 형식이다. 펀드 운영은 대·중소기업·농어업협력재단이 담당한다. 

저작권자 © 시사저널e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