직장폐업, 계약기간 만료 등 영향

지난달 29일 대구 엑스코에서 열린 '2017 현대·기아자동차 협력사 채용박람회'를 찾은 한 구직자가 취업정보 게시판을 꼼꼼히 살펴보고 있다. / 사진= 뉴스1
직장폐쇄, 계약기간 만료 등으로 비자발적으로 이직하는 청년 숫자가 사상 최대치를 기록했다. 어렵게 취업에 성공한 청년층에게 현실은 ‘가시밭길’이다.

23일 통계청에 따르면 올해 5월 기준 비자발적 이직을 경험한 청년(15~29세)은 총 37만2000명으로 나타났다. 계약기간 만료와 직장‧휴‧폐업‧파산 등의 영향이다. 이같은 청년 숫자는 지난 2004년 관련 통계를 집계한 이래 가장 많은 수치다.

비자발적 청년 이직자는 지난 2012년 27만8000명을 기록한 이래 꾸준히 증가했다. 이후 지난해 33만4000명을 기록하는 등 지난 2년 간 사상 최대치를 매해 갱신했다.

반면 청년 이직자는 지난 2010년 292만1000명으로 기록한 이래 매해 줄어들고 있다. 첫 직장을 떠나는 청년층은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 감소세를 보이며 올해 257만4000명을 기록하는 등 매해 최저치를 갱신하고 있다.

청년층이 줄어들면서 청년 이직자가 줄어든 결과다. 청년층은 지난 2004년 1014만1000명에서 지난해 924만8000명으로 감소한 바 있다. 학업, 취업준비를 이유로 취업을 미루는 청년층이 늘어난 것도 영향을 줬다.

청년 이직자가 감소하는 와중에 비자발적 이직자는 늘면서 비자발적 청년 이직자 비율은 증가하고 있다. 비자발적 청년 이직자 비율은 지난 2008년 글로벌 금융위기 당시 9.6%를 기록한 이래 올해 14.5%까지 늘었다.

경제불황이 비자발적 청년 이직자 증가에 일조하고 있다. 경영이 어려워 회사에서 권고사직을 권유, 정리해고 및 계약직‧인턴 채용 등으로 비자발적 이직자가 증가하는 상항이다.

거시경제 불황으로 정규직 채용을 꺼리는 기업풍토가 비자발적 청년 이직자 증가로 이어지고 있다. 졸업‧중퇴 후 취업 유경험자 중 계약직 근로자 비율은 전년 대비 증가했다. 이에 임시적‧계절적인 일 종료, 계약기간 만료로 이직한 청년은 올해 31만1000명으로 전년 대비 17.8% 증가했다.

 

저작권자 © 시사저널e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