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자이익·비이자이익 고른 증가세…해외부문도 상반기 순익 규모 지난해 연간 실적 육박

우리은행(은행장 이광구)2분기 당기순이익 4608억원을 달성해 시장 예상치 4000억원 수준을 웃도는 실적을 올렸다고 20일 발표했다.

 

우리은행의  당기순이익은 상반기 전체로는 1983억원으로 이는 전년 동기 대비 46.4%(3481억원) 증가한 실적이다. 우리은행의 연중 누적 당기순이익이 1조원을 돌파하는 시점은 201512월말에서 작년에는 9월말로, 올해는 다시 6월말로 갈수록 앞당겨지고 있다.

 

이 같은 성과는 순이자마진 개선 모멘텀이 지속되고, 신탁 및 펀드, 외환·파생 등 핵심 비이자이익의 성장이 이뤄지는 가운데 판매관리비와 대손비용의 지속적인 감축 효과가 작용한 것으로 분석된다.

 

특히, 해외부문의 경우 올해 상반기에 전년 연간 실적에 육박하는 1000억원 상당의 순이익을 달성해 이광구 행장이 그동안 중점 추진했던 글로벌 확대 진출 전략이 다름 성과를 나타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우리은행 손익실적/자료=우리은행

이자이익은 지속적인 저금리 상황에서도 우량자산 위주의 성장 및 저비용 예금 증가에 힘입어 꾸준한 증가세를 보였으며, 비이자이익은 외환·파생 부문과 신탁 및 펀드 등 자산관리 부문 상품판매 호조로 실적 증가를 이끌었다.

 

자산건전성도 6월말 현재 고정이하여신비율은 (조선2SPP조선, STX조선 제외) 0.78%, 명목연체율 0.42%로 향상돼 우량자산 중심으로 자산의 질적 개선이 이뤄졌다.

 

보통주자본비율은 10.89%(배당전 기준)를 기록해 전년말 대비 0.39%p 향상됨으로써 2019년에 적용될 예정인 바젤최고 가이드라인 10.5%보다 높은 수준을 유지했다.

 

우리은행 관계자는 올해 들어 자산관리시장에 대한 영업확대 전략이 주효해 비이자이익이 가파르게 증가하고 있으며, 이에 따라 전반적인 이익 안정성이 더욱 견조해졌다면서 민영화 이후 펀더멘탈 개선효과가 본격화하고 있어 이자이익과 비이자이익의 균형있는 수익구조는 더욱 향상될 것이라고 말했다.

 

한편, 우리은행의 경우 개별기준 상반기 당기순이익은 1321억원이며, 계열사별 올 상반기 당기순이익은 우리카드 619억원, 우리종합금융 120억원 등이다. 

저작권자 © 시사저널e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