재건축 사업 활황으로 투자수요 몰려…내년 초과이익환수제 시행 앞둔 '막차타기'도 가세
서울과 부산 아파트값이 지난달 역대 최고가를 기록했다. 재건축 사업 활황이 투자수요를 부추긴 때문이다. 이에 힘입어 전국 평균 아파트값이 고점을 경신했다.
12일 한국감정원이 발표한 ‘2017년 상반기 부동산 시장 동향 및 하반기 전망’에 따르면 지난달 전국 평균 아파트 매매가격지수는 1.58(기준시점 2010년 10월)을 기록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역대 최고가다.
서울 및 부산 지역 부동산 시장 활황이 전국 아파트값을 끌어 올렸다. 지난달 서울 아파트 매매가격지수는 1.61로 나타났다. 이는 전 고점이었던 지난 2008년 9월(1.57)을 뛰어넘는 수치다. 부산은 지난달 매매가격지수가 1.68로 역대 가장 높은 수치를 기록했다. 서울, 부산 두 지역의 선전으로 5월말까지 누적 주택 매매거래량이 전년 동기 대비 하락했음에도 전국 아파트값은 오름세를 보였다.
한국감정원 관계자는 “전국 아파트 평균 매매값은 꾸준히 최고점 수준을 갱신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두 지역 재건축 사업이 진행되면서 투자수요가 몰린 결과다. 서울의 경우 강남권 재건축 단지 가격상승이 매매가격 상승의 주춧돌 역할을 했다. 부산 지역은 도심지역 내 노후주택이 많아 재건축 사업이 대거 진행되면서 수요자들이 몰렸다. 내년 예정된 초과이익환수제가 이들 지역 재건축 단지를 향한 ‘막차수요’에 불을 지폈다.
서울과 부산엔 전세수요도 몰렸다. 지난달 서울 및 부산의 아파트 전세가격지수는 각각 1.99, 1.77을 기록하며 역대 최고치를 갱신했다. 이에 전국 아파트 전세가격지수는 지난달 1.89를 기록하며 지속적으로 고점을 유지하고 있다.
한편 타지역 주택을 구입하는 외지인도 주택시장 활황에 보탬이 됐다. 지난 4월 기준 수도권 내 주택을 구입한 사람 가운데 외지인 거래비중은 23%로 나타났다. 이는 전년 동기(22%) 대비 소폭 상승한 수치다. 서울은 외지인의 거래비중이 지난해 17%에서 올해는 19%로 확대됐다. 반면 부산은 외지인 거래비중이 같은 기간 11%에서 10%로 소폭 하락했다.
반면 추가 부동산 대책에 따라 하반기 서울과 부동산 지역 아파트값이 고점을 갱신하기를 마냥 기대할 수 없다는 전망도 나온다. 한국감정원이 분석한 자료에 따르면 전매제한기간을 소유권 이전등기 시까지로 제한할 시 강남4구(강남‧서초‧송파‧강동)의 아파트 매매가격이 월평균 0.236% 하락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8월 가계부채 대책 등 잇단 부동산 규제가 예고된 상황에서 하반기 추가 대책이 두 지역 부동산 시장 경기 하강에 영향을 줄 수 있는 대목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