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19 부동산 대책 시행전 先수요 몰려…제2금융권 가계대출 증가폭은 줄어
6월 은행권 주택담보대출이 7개월 만에 최대폭으로 증가했다. 7월 6·19 부동산 대책이 시행되기 전 선수요가 몰린 것이 주요 원인으로 분석된다.
12일 금융위원회와 한국은행에 따르면 은행권 주택담보대출(이하 주담대)은 6월중 4조3000억원이 늘어 지난해 11월(6조1000억원) 이후 7개월 만에 최대 증가폭을 기록했다. 이로 인해 은행권 주담대 잔액은 상반기말까지 549조8000억원이 증가한 것으로 집계됐다.
6월 가계대출이 이렇게 늘어난 것은 6·19 부동산 대책 시행에 따라 7월3일부터 대출 가능액이 줄어들 것을 우려해 미리 돈을 빌리려는 수요가 몰린 때문으로 풀이된다. 정부는 서울과 경기·부산 일부, 세종 등 청약조정지역 40곳에서 주택담보대출비율(LTV)·총부채상환비율(DTI) 규제를 강화하는 정책을 시행 중이다.
실제 지난달 수도권 주택매매량은 4만7000건, 서울 아파트매매량은 1만5000건으로 치솟아 올들어 최대 규모로 확대됐다.
주담대를 제외한 마이너스통장대출 등 기타대출 잔액은 180조3000억원으로 1조8000억원 증가했다. 이에 따라 은행권 6월 가계대출은 6조1000억원 늘어나 전월(6조3000억원)에 이어 높은 증가폭을 유지했다. 은행권의 상반기 가계대출 잔액은 731조원(주택금융공사 모기지론 양도분 포함)으로 집계됐다.
은행, 상호금융, 보험사, 저축은행, 카드사 등 금융권 전반으로 확대해보면 가계대출은 지난달에만 7조8000억원(금융감독원 속보치 기준) 증가했다. 지난달 증가폭은 전월(5월 10조원)이나 지난해 같은 기간(2016년 6월 11조6000억원)에 비해서는 주춤했다. 하지만 1분기 평균 증가액인 5조1000억원보다는 높았다.
한편 지난달 제2금융권 가계대출은 1조6000억원 늘어 증가폭이 올들어 가장 낮은 수준으로 떨어졌다. 지난해 같은 기간 증가폭(5조1000억원)에 비해서도 증가세가 크게 둔화했다. 상반기 큰 폭으로 증가했던 저축은행 가계대출과 카드사가 각각 1200억원, 900억원 감소한 영향이 컸다.
다만 농·수·신협·산림조합·새마을금고 등 상호금융과 보험사 가계대출은 각각 1조4000억원, 5000억원 늘어 대조되는 양상을 보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