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월말 가계대출 잔액중 변동금리는 65.4%

가계대출에서 변동금리가 차지하는 비중이 높아 금리인상시 가계의 이자부담에 대한 우려가 커지고 있다. 지난 5월 시중 은행이 새로 취급한 변동금리 상품의 비중은 전체에서 61.0%를 차지했다. 4월(56.9%)보다 4.1%포인트  상승했다. 당분간 이 추세가 쉽게 꺾이지 않을 것으로 보여 대책마련이 요구된다.

1일 한국은행에 따르면 지난 5월 말 누적 기준으로 예금은행의 가계대출 잔액에서 65.4%가 금융채를 비롯한 시장금리, 수신금리 등과 연동된 변동금리 대출이었다. 고정금리 대출은 34.6%에 불과했다. 변동금리 대출 비중은 4월 말보다 0.1%포인트 올랐다.

이 같은 추세는 최근 은행이 변동금리 대출 상품을 많이 판매한 영향으로 풀이된다. 앞서 올해 1분기(1∼3월) 변동금리 상품의 비중(신규취급액 기준)은 59.5%로 지난해 4분기(57.9%)에 비해 1.6%포인트 상승했다. 분기 기준으로 2015년 3분기(64.1%) 이후 1년 6개월 만에 최고 수준이다.

금융권은 최근 변동금리 대출 확대 추세를 미국 금리 상승 영향 때문으로 해석한다. 미국 연방준비제도(Fed)가 금리를 올리는 상황에서 은행은 수익성을 높이기위해 변동금리 대출을 선호할 수 밖에 없다. 금리 상승기에는 변동금리로 대출을 받은 고객으로부터 이자를 더 받아낼 수 있다.

그간 금융당국은 가계부채의 질적 구조 개선을 위해 고정금리 비중을 높이는 데 공을 들였다. 이에 따라 은행 가계대출 잔액에서 변동금리 비중은 2011년 말 90.7%에서 2012년 80.2%, 2013년 78.7%, 2014년 71.6%, 2015년 68.7%, 2016년 65.5% 등으로 꾸준히 하락했다.

그러나 미국의 금리 인상 기조에 맞물려 이런 하락 추세가 반전될 가능성이 큰 것으로 점쳐진다. 이에 변동금리 대출을 받은 가계의 부담은 더욱 커질 것으로 보인다. 문제는 변동금리 확대는 내수 진작에도 도움이 되지 않는다는 점이다.

박춘성 한국금융연구원 연구위원은 최근 '금리유형별 주택담보대출과 경기변동' 보고서에서 “ 금리가 상승할 때 변동금리·일시상환 차입자의 소비 감소 폭이 고정금리·분할상환 차입자보다 크다”고 분석했다.

 

 

정은보 금융위원회 부위원장이 지난달 15일 오후 서울 세종로 정부서울청사에서 열린 ‘금융위-금융감독원 합동 리스크 점검회의’에서 모두발언을 하고 있다./사진=뉴스1

저작권자 © 시사저널e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