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드대출 3년새 7조2000억원 늘어…대출 취약차주 비중도 1분기 11.4%로 1.5%P 상승
23일 금융권에 따르면 카드사들이 저금리로 호전된 자금조달 여건을 활용해 대출을 크게 늘렸다. 2013년말 22조2000억원에 달하던 카드대출은 지난해 말 29조5000억원까지 올랐다. 3년만에 32.5%(7조2000억원)가 증가했다.
신용카드 가맹점 수수료는 꾸준히 인하돼 왔다. 지난 14일에도 금융위원회는 카드 수수료율 0.8%가 적용되는 영세 가맹점 기준을 연 매출 2억원에서 3억원으로, 1.3%를 적용받는 중소가맹점 기준을 연 매출 3억원에서 5억원으로 확대하는 내용의 여신전문금융업법 시행령 개정안을 입법 예고했다. 이렇게 되면 전체 가맹점 수의 87%가 우대 수수료율을 적용받게 된다. 카드업계 수익은 연 3500억~4000억원이 감소할 것으로 보인다.
카드사들은 가맹점 수수료 인하로 인한 수익 악화에 대응해 카드론 확대에 적극 나서고 있다. 특히 일부 은행계 신용카드사들은 외형을 확장하는 과정에서 카드론을 집중적으로 늘렸다.
고금리 카드론은 이 기간 16조4000억원에서 23조7000억원으로 늘며 전체 카드 대출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73.7%에서 80.3%로 늘었다.
카드론 확대에 맞춰 카드 대출 취약차주 비중도 2013년 말 9.9%에서 올 1분기 11.4%로 1.5%포인트 상승했다. 또한 소득감소 가능성이 큰 60대 이상 고령차주 연체자가 증가했다. 고령층 연체금액 비중은 같은 기간 10.8%에서 13.1%로 상승했다.
금융권 관계자는 "카드사의 경우 금리가 오르면 조달비용이 상승한다는 점에서 불리한 여건"이라며 "자산건전성이 우려된다"고 말했다. 감독 당국은 카드사 고위험대출에 대응해 추가 충당금 적립 , 캐피탈사 자산 건전성 분류기준 강화 등을 적용할 예정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