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해 동기대비 1.8% 줄어든 물량…"일부 가수요 걷혀도 시장 냉각은 없을 듯"

지난달 20일 경기 김포시 한강메트로자이 모델하우스에서 예비 청약자들이 견본주택을 살펴보고 있다. / 사진= 뉴스1
내달 전국에서 아파트 4만8000여가구가 분양에 들어간다. 6.19 대책의 직접적인 영향을 받는 단지들이다. 다만 대책의 낮은 규제강도, 인기 단지 수요쏠림 현상으로 인해 청약경쟁률이 일부 조정되는 선에서 분양시장이 마무리될 것이란 전망이 제기되고 있다. 

22일 부동산 114에 따르면 다음달 전국 아파트 분양예정 물량은 4만8908가구로 나타났다. 이는 전년 동기(4만9795가구) 대비 1.8% 감소한 수치다. 지역별로 같은 기간 수도권은 8% 감소한 3만1136가구, 지방은 26% 증가한 1만7772가구가 분양에 들어간다. 
전년 동기 대비 7월 지역별 분양예정 물량 / 자료= 부동산114
내달 분양시장은 새 정부가 지난 19일 발표한 ‘주택시장의 안정적 관리를 위한 선별적 맞춤형 대응방안’의 직접적 영향을 받게 된다. 대책의 주요 골자는 서울 지역 분양권 전매제한 강화, 청약조정지역 추가 선정, 맞춤형 주택담보대출비율(LTV)‧총부채상환비율(DTI) 규제 조정, 재건축 조합원 주택공급 수 제한이다. 이에 따라 청약경쟁률의 향방에 업계가 주목하는 상황이다.

특히 서울 지역 청약시장에 대한 관심이 높다. 서울은 이번 대책으로 전 지역의 분양권 전매제한기간이 소유권 이전등기 시까지 제한되는 ‘규제 직격탄’을 맞았기 때문이다. 일반적으로 주택분양 이후 완공까지 2년이 걸린다. 이 기간 잔금대출이 완납된 이후 소유권 이전등기가 가능하다. 즉 분양권 구입 후 매매까지 2년이란 시간이 필요하다. 투자자 입장에서 환금성이 떨어진 만큼 청약시장에 소극적으로 접근할 수 밖에 없다는 관측이 제기되는 대목이다. 내달 분양 예정 물량이 7444가구로 전년 동기 대비 240% 늘어나 '수요분산'이 우려되는 점에서 청약경쟁률 조정이 발생할 가능성이 높다고 업계 전문가들은 관측한다. 

전반적 청약시장 경기가 하강하는 대목도 7월 분양시장에 대한 업계의 관심이 집중되는 이유다. 전국 1순위 평균 청약경쟁률은 3월 17.3대 1, 4월 15.7대 1, 5월 9.2대 1로 수직하락하고 있다. 이번 대책의 결과 청약시장의 하락폭이 더 커질 수 있다고 업계가 전망하는 대목이다.

다만 청약경쟁률 조정폭이 극히 제한적일 것이란 전망도 나오고 있다. 청약시장에 접근하는 수요자들 대다수가 자기자본을 활용하는 만큼 금융규제의 타격이 크지 않을 수 있다는 분석이 나온다. 이현수 부동산114 리서치센터 연구원은 “이번 대책은 투기수요 등 가수요를 걷어내는 데 목적이 있다. 다만 해당 투자자들은 여유자금을 상당수 보유하고 있다. 대출규제에 크게 영향을 받지 않는다. 실제 서울의 경우 브랜드 단지들은 수요가 급격히 하락하지 않을 것을 감안해 분양일정 조정이 거의 일어나지 않았다“며 ”일부 가수요가 제거될 순 있어도 청약시장이 냉각되진 않을 가능성이 높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 시사저널e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