독일, 15일 A7·A8 리콜 명령…포르쉐 카이엔으로 조사 확대

환경부가 독일에서 리콜 명령이 떨어진 아우디 A7, A8모델 조사에 나섰다. / 그래픽 = 김태길 디자이너

프리미엄 자동차 브랜드 아우디가 독일서 일부 모델의 배출가스를 조작한 것으로 밝혀지면서 한국에서 디젤게이트가 재발할 조짐을 보이고 있다. 독일 정부는 15일 아우디 A7, A8 모델을 배출가스 조작 차량으로 추가 적발하고 리콜 명령했다. 한국 환경부도 해당 사안에 조사에 착수한 것으로 확인됐다. 이에 배기가스 실험 프로그램 조작, 서류조작에 이어 3차 디젤게이트가 발발할 지 귀추가 주목된다.

 

21일 환경부에 따르면 환경부 교통환경과는 독일 정부가 리콜 조치한 A7, A8과 동일한 모델을 국내에 수입·판매한 사실을 확인하고 판매 범위를 파악하고 나섰다.

환경부 관계자는 “아우디가 배출가스를 조작한 차량을 한국에 수입한 것이 맞다. 독일서 리콜 조처한 차량들이 국내에 풀렸다. 어떤 모델이 얼마큼 들어왔는 지 확인하고 있다”고 말했다.

환경부는 국립환경과학원과 함께 결함 조사에 나섰다. 또 독일 아우디폴크스바겐그룹 본사에 아우디 A7과 A8 연비조작 관련 자료도 요청했다. 환경부는 조사 결과가 나오는 대로 리콜 등 상응 조처를 취한다는 방침이다.

이번에 독일에서 적발된 차량들은 2009~2013년 생산된 아우디 A7과 A8모델 2만4000대가량다. 각각 V8와 V6 디젤 엔진을 장착했다. 해당 차량들은 배출가스 검사 시 핸들이 제자리에 있으면 배출가스 저감장치가 정상 작동됐다. 그러나 핸들을 15도 이상 돌리면 질소산화물이 유로5 기준치의 2배 이상 배출된다.

독일 교통부 산하기관 KBA(Kraftfahrt-Bundesamt)는 지난 15일 아우디에 해당 차량 리콜 명령을 내렸다. 모터 회전수가 엔진 소프트웨어의 영향을 받는 다는 게 공식 이유였다. 알렉산더 도브린트 독일 교통부 장관이 “불법 조작 시스템이 설치된 2만4000대 아우디 차량을 리콜해야 한다”고 주장한 지 14일 만이다.

아우디 대변인은 “기술적 결함”일 뿐 의도적 배출가스 조작은 아니라는 입장을 밝혔다. 그는 또 “KBA가 내리는 모든 명령에 따를 것”이라며 “7월부터 리콜을 시작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모기업 폴크스바겐은 서둘러 디젤게이트를 봉합하고 싶어한다. 하지만 디젤게이트는 점점 확산하는 추세다. 포르쉐 고성능 중형 스포츠유틸리티차량(SUV) 카이엔도 배출가스 조작 스캔들에 휘말렸다. KBA는 지난 12일 카이엔 배출가스 조작 여부 조사에 착수한다고 밝혔다. 해당 차량에도 V6 디젤 엔진이 장착됐다.

김필수 대림대 자동차학과 교수는 “아우디 A7, A8 모델과 포르쉐 카이엔을 같은 플랫폼에서 생산하기 때문에 카이엔 역시 배출가스 조작 영향을 받았을 가능성이 높다”며 “카이엔 배출가스 조작이 사실로 밝혀질 경우 프리미엄 이미지를 내세우는 포르쉐가 받을 타격은 상당할 것”이라고 지적했다.

카이엔은 국내 수입되는 포르쉐 모델 중 가장 인기가 높다. 올해 들어 포르쉐 모델 중 판매량 1위를 고수하고 있다. 다만 아직까지 어떤 모델이 배출가스 조작 영향을 받았는지 밝혀진 바가 없어 국내 수입 여부는 확인되지 않은 상태다.

아우디폴크스바겐코리아는 아직까지 공식 입장을 내놓지 않은 상태다. 아우디 A7, A8 모델 국내 수입 여부에 대해서도 아우디 관계자는 “확인 중”이라고만 반복하고 있다.

저작권자 © 시사저널e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