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자리위원회 간담회서 다짐…"정부와 노동계의 협력적 동반자 될 것"
이용섭 일자리위원회 부위원장은 이날 서울정부청사 창성동 별관에서 열린 경총과 일자리위원회의 간담회에서 “정부만의 노력으로 일자리 정책의 성과를 올리기 어렵다”며 “경총은 사용자 이익에만 매몰되지 말고 국민경제 발전이라는 큰 목표 안에서 양보하는 모습을 기대한다”고 당부했다.
이 부위원장은 “지금 시대정신은 불평등, 불공정, 불균형이라는 ‘3불’로 인한 중산, 서민층의 고통과 울분을 해소하여 국민통합을 이루는 것 ”이라면서 “해법은 일자리 창출”이라고 강조했다.
또 “부작용 없는 정책은 없다”면서 “문재인 정부는 일자리 정책의 부작용을 최소화하면서 지속적 발전을 가져오기 위해 노력하겠다. 경총이 일자리 정책의 긍정적 효과에 주목해주길 부탁한다”고 언급했다.
박 회장은 정부 일자리 정책에 적극적으로 동참하겠다는 뜻을 밝혔다. 박 회장은 “문재인 정부가 일자리 정책을 국정 제1과제로 정한 것을 쌍수 들고 환영하고 있다. 일자리로 시작해서 일자리로 완성된다는 새 정부의 구호에서 (일자리를 만들겠다는)정부의 강력한 의지를 느끼고 있다”고 말했다.
박 회장은 2003년 참여정부의 파주 첨단 LCD(액정표시장치) 공장 설립을 위해 규제를 풀어준 사례를 언급하며 정부의 지원을 호소했다. 그는 “당시 파주는 수도권 규제 대상이었을 뿐만 아니라 아주 많은 규제가 겹쳐있었다”며 “재벌 특혜시비까지 갈 수 있는 오해의 소지가 있었음에도 노 전 대통령이 투자유치와 일자리 창출을 위해 어떻게든 되게 하라고 지시를 내렸다”고 말했다. 또한 “이후 LG뿐만 아니라 다른 기업들도 그 후 파주에 자리를 잡고 중소기업 협력업체들도 들어와 파주는 일자리가 많이 늘어났고 인구도 80%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며 “새 정부도 파주 사례와 같이 일자리가 생길 수 있는 사업체에 대해서는 모든 지원을 아낌없이 해주길 바란다”고 요청했다.
그는 “경총은 그동안 경영계에 이득되는 방향으로 노동시장을 개혁하자고 한 적이 없다”며 “그동안 저는 경총회원들에게 임금부담을 줄일 수 있는 방향으로 노동시장 개혁해달라는 건 바람직하지도 가능하지도 않다고 누누이 강조해왔다. 어떻게 일자리를 하나라도 더 만들지가 노동시장 개혁의 원칙이 돼야한다”고 설명했다. 그러면서 “경총이 근로시간 단축을 통해 일자리 나누기에 앞장서온 것도 일자리 문제해결을 위해 경영계가 나서야 한다고 생각했기 때문이다. 경총은 정부와 노동계의 협력적 동반자가 될 것임을 약속한다”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