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세환 회장 구속으로 경영공백 극심…"차제에 지배구조 개편해야" 내부 목소리 높아
BNK금융그룹이 내부적으로 지주회장과 부산은행장을 분리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BNK금융그룹 회장과 부산은행장으로 있는 성세환 회장의 구속 기소로 발생한 경영 공백 과정에서 제기된 주장이다.
BNK금융그룹 내 한 관계자는 "성 회장이 지주 회장과 은행장을 겸직하다 보니 지주와 은행이 동시에 경영 공백을 겪게 됐다"며 "성 회장이 경영에 복귀하더라도 회장과 은행장을 겸직하는 현 지배구조 체제를 바꿔야 한다는 목소리가 내부적으로 많다"고 전했다.
이 관계자는 "회장·은행장 겸직 체제에서는 경영 전반이 마비되는 상황이 계속 벌어질 수밖에 없다"며 "이사회가 체제 개편을 논의해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이같은 주장은 성 회장이 은행장까지 겸직하다보니 갑작스런 검찰 조사로 경영 일선에서 빠지자 주요 계열 경영 전반이 마비되는 상황을 낳았다는 우려에서 나왔다. 성 회장 쪽으로 경영 힘이 쏠리자 그만큼 경영 공백으로 인한 금융지주 전체 혼란이 가중됐다는 뜻이다.
이에 금융지주와 은행 내부에선 이번 성 회장 구속으로 생긴 경영공백을 성 회장 후임 인선 절차를 통해 해결해야 한다는 목소리와 함께 경영 지배 구조를 손봐 BNK금융지주와 부산은행 조직을 각각 재편하는 절차가 불가피하다고 보고 있다.
일단 BNK 부산은행 노조는 성 회장이 경영에서 빠져야 한다는 입장이다. 부산은행 노조는 지난 13일 성명서를 통해 BNK금융지주 이사회가 후임 회장 인선 절차를 서둘러 단행해야 한다는 의견을 낸 바 있다.
부산은행 노조는 성 회장이 주가 시세조종 혐의로 지난 4월 구속 기소된 후 지주와 은행 모두 경영 공백 사태를 맞았고 경영 공백이 장기화할 우려가 있다며 후임 회장 인선을 서둘러야 한다는 입장이다.
또 노조는 성 회장이 재판 후 경영에 다시 복귀한다고 해도 이는 조직이 안정화하는 것보다 개인 명예회복을 위한 것일 뿐이란 입장이다. 아울러 BNK금융 회장과 부산은행장을 분리하는 체제 개편을 논의해 체제 안정을 만들어야 한다는 주장을 내놓고 있다.
BNK금융 한 관계자는 "지주 회장, 은행 겸직 체제를 바꿔야 한다는 주장은 혹여 성 회장이 복귀하더라도 더 강하게 제기될 것"이라며 "은행 내부에선 권력 집중에 대한 우려가 크다. 부산은행장은 은행 내부 사정을 잘 아는 사람이 하고 회장직은 성 회장이 임기까지 할 수도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일단 BNK금융그룹 이사회는 지난 9일 기타 경영 안건으로 경영권 승계에 대해 논의한 바 있다. 성 회장 경영 공백에 따른 대비가 필요하다는 입장이 오간 것으로 알려졌다. 하지만 이사회는 성 회장 재판 결과가 나오지 않은 만큼 후임 인선 절차를 공식화하지는 않은 상태다.
이와 관련해 BNK금융그룹 한 관계자는 "성 회장 주장대로 무죄가 나오더라도 BNK금융그룹 전체가 금융조작 혐의로 신뢰도가 떨어진 상태"라며 "이 부분을 이사회에서 생각해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성 회장은 지난 4월 주식 시세 조종 혐의(자본시장과 금융투자업법 위반)로 구속됐다. 검찰에서는 BNK금융그룹 시세 조종과 관련해 성세환 회장이 주도적으로 이를 지시했고 이후 계열사가 조직적으로 가담해 주식조작을 한 것으로 보고 있다.
한편 성 회장의 BNK금융그룹 회장 임기는 2019년 3월24일까지다. 부산은행장 임기는 내년 3월 18일까지다.
BNK금융그룹 관계자는 "회장·은행장 겸직은 이사회에서 결정할 일"이라며 "다른 사안으로 이사회가 열렸을 때 기타 안건으로 논의했지만 기타 토의는 직원이 배석하지 않는다. 어떤 내용이 오갔는지 알 수 없다"고 전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