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세환 회장 구속으로 경영공백 극심…"차제에 지배구조 개편해야" 내부 목소리 높아

최근 성세환 BNK금융지주 회장 겸 은행장 경영 공백으로 BNK지주회장과 부산은행장을 분리하는 체제 개편이 필요하다는 목소리가 내부적으로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 이미지=조현경 디자이너

BNK금융그룹이 내부적으로 지주회장과 부산은행장을 분리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BNK금융그룹 회장과 부산은행장으로 있는 성세환 회장의 구속 기소로 발생한 경영 공백 과정에서 제기된 주장이다.

BNK금융그룹 내 한 관계자는 "성 회장이 지주 회장과 은행장을 겸직하다 보니 지주와 은행이 동시에 경영 공백을 겪게 됐다"며 "성 회장이 경영에 복귀하더라도 회장과 은행장을 겸직하는 현 지배구조 체제를 바꿔야 한다는 목소리가 내부적으로 많다"고 전했다.

이 관계자는 "회장·은행장 겸직 체제에서는 경영 전반이 마비되는 상황이 계속 벌어질 수밖에 없다"며 "이사회가 체제 개편을 논의해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이같은 주장은 성 회장이 은행장까지 겸직하다보니 갑작스런 검찰 조사로 경영 일선에서 빠지자 주요 계열 경영 전반이 마비되는 상황을 낳았다는 우려에서 나왔다. 성 회장 쪽으로 경영 힘이 쏠리자 그만큼 경영 공백으로 인한 금융지주 전체 혼란이 가중됐다는 뜻이다.

이에 금융지주와 은행 내부에선 이번 성 회장 구속으로 생긴 경영공백을 성 회장 후임 인선 절차를 통해 해결해야 한다는 목소리와 함께 경영 지배 구조를 손봐 BNK금융지주와 부산은행 조직을 각각 재편하는 절차가 불가피하다고 보고 있다.

일단 BNK 부산은행 노조는 성 회장이 경영에서 빠져야 한다는 입장이다. 부산은행 노조는 지난 13일 성명서를 통해 BNK금융지주 이사회가 후임 회장 인선 절차를 서둘러 단행해야 한다는 의견을 낸 바 있다.

부산은행 노조는 성 회장이 주가 시세조종 혐의로 지난 4월 구속 기소된 후 지주와 은행 모두 경영 공백 사태를 맞았고 경영 공백이 장기화할 우려가 있다며 후임 회장 인선을 서둘러야 한다는 입장이다.

또 노조는 성 회장이 재판 후 경영에 다시 복귀한다고 해도 이는 조직이 안정화하는 것보다 개인 명예회복을 위한 것일 뿐이란 입장이다. 아울러 BNK금융 회장과 부산은행장을 분리하는 체제 개편을 논의해 체제 안정을 만들어야 한다는 주장을 내놓고 있다.

BNK금융 한 관계자는 "지주 회장, 은행 겸직 체제를 바꿔야 한다는 주장은 혹여 성 회장이 복귀하더라도 더 강하게 제기될 것"이라며 "은행 내부에선 권력 집중에 대한 우려가 크다. 부산은행장은 은행 내부 사정을 잘 아는 사람이 하고 회장직은 성 회장이 임기까지 할 수도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일단 BNK금융그룹 이사회는 지난 9일 기타 경영 안건으로 경영권 승계에 대해 논의한 바 있다. 성 회장 경영 공백에 따른 대비가 필요하다는 입장이 오간 것으로 알려졌다. 하지만 이사회는 성 회장 재판 결과가 나오지 않은 만큼 후임 인선 절차를 공식화하지는 않은 상태다.

이와 관련해 BNK금융그룹 한 관계자는 "성 회장 주장대로 무죄가 나오더라도 BNK금융그룹 전체가 금융조작 혐의로 신뢰도가 떨어진 상태"라며 "이 부분을 이사회에서 생각해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성 회장은 지난 4월 주식 시세 조종 혐의(자본시장과 금융투자업법 위반)로 구속됐다. 검찰에서는 BNK금융그룹 시세 조종과 관련해 성세환 회장이 주도적으로 이를 지시했고 이후 계열사가 조직적으로 가담해 주식조작을 한 것으로 보고 있다.

한편 성 회장의 BNK금융그룹 회장 임기는 2019년 3월24일까지다. 부산은행장 임기는 내년 3월 18일까지다.

BNK금융그룹 관계자는 "회장·은행장 겸직은 이사회에서 결정할 일"이라며 "다른 사안으로 이사회가 열렸을 때 기타 안건으로 논의했지만 기타 토의는 직원이 배석하지 않는다. 어떤 내용이 오갔는지 알 수 없다"고 전했다.

 

저작권자 © 시사저널e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