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대출의 31.7~24.2% 차지…납입 보험료 담보 잡아 떼일 염려 없음에도 대출에 고금리 적용

(왼쪽부터 해당 보험사 본사 건물) 삼성생명과 한화생명, 교보생명이 떼일 걱정이 없는 약관대출을 늘리며 고금리 장사를 해온 것으로 나타났다. / 사진=뉴스1
삼성생명과 한화생명, 교보생명이 고금리 대출인 약관대출 규모를 매년 늘려 짭짤한 이자 수익을 챙겨온 것으로 나타났다. 보험약관대출은 저신용 고객이 불입한 보험료를 담보로 보험사에서 돈을 빌리며 고금리를 감수해야 하는 대출이다. 보험사 입장에선 약관대출을 담보가 확실해 떼일 염려가 없으면서 이자율은 높아 이자 수익이 높은 채권으로 여긴다. 이 대출채권을 빅3 생명보험사가 매년 늘려와 고금리 장사를 했다는 지적이 나온다.

15일 삼성생명과 한화생명, 교보생명이 금융감독원 전자공시시스템에 발표한 사업보고서에 따르면 지난해 말 기준 빅3 생보사에서 받은 약관대출 총액이 1년 사이에 5% 늘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2013년 이후 매년 약관대출이 늘어났다.

약관대출은 고객이 낸 보험료를 담보로 돈을 빌려주는 형태다. 담보가 확실해 보험사 입장에서 채권 부실화 염려가 적다. 연체율이 낮은 채권임에도 이자가 은행 예금담보대출보다 높아 보험사 입장에선 이자 수익에 도움이 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빅3 생보사가 지난해 말 발표한 약관대출 총액은 27조582억원이다. 전년보다 5% 늘었다. 빅3 생보사 중 삼성생명이 보유한 약관대출 규모가 가장 컸다. 삼성생명 약관대출 규모는 13조6362억원이다. 2015년보다 3% 늘었다. 삼성생명은 약관대출을 매년 늘려와 올해 규모가 2013년 대비 4618억원이 증가했다.

한화생명은 빅3 생보사 중 약관대출 증가율이 가장 높았다. 지난해 말 한화생명 약관대출 규모는 6조5629억원이다. 전년보다 11% 급증했다. 교보생명 약관대출 규모는 5조8591억원으로 전년보다 0.7% 늘어나는데 그쳤다.

보험업계 관계자는 "약관대출은 보험계약 해지환급금 범위내에서 대출을 받을 수 있는 계약"이라며 "복잡한 서류절차 없이 쉽게 받을 수 있다. 이자가 비씨지만 1금융권에서 대출이 어려운 서민이 보험금을 담보로 고금리를 부담해야 한다. 이에 약관대출이 매년 늘어났을 것"이라고 전했다.

약관대출 상당수가 연 9%가 넘는 고금리기 때문에 이용자들의 상환부담이 커질 수밖에 없다. 삼성생명을 기준으로 지난달 약관대출 금리는 기준금리 6.98%에 가산금리 2.25%를 더해 9.23%의 고금리가 적용된다.

약관대출이 고금리 상품이지만 보험사 입장에선 담보가 확실해 부담이 없는 상품으로 취급한다. 특히 약관대출 연체율도 낮아지고 있어 보험사 입장에선 약관대출 증가를 거부할 이유가 없다. 보험업계에 따르면 올해 1분기 25개 연체율이 0.16%를 기록했다. 전분기보다 0.69%포인트 떨어졌다.

약관대출금 충당금도 보험사 대출채권 중 가장 작았다. 삼성생명이 지난해 약관대출로 쌓은 대손충당금은 2억원에 불과했다. 전체 충당금에 0.05%에 불과했다. 한화생명과 교보생명도 마찬가지였다. 같은기간 한화생명이 쌓은 약관대출 대손충당금은 1억5400만원이다. 전체 대손충당금에 0.2%에 해당했다.

이에 빅 3생보사 약관대출 규모는 전체 대출채권 중에서 차지하는 규모가 가장 컸다. 연체율이 낮고 채권 부실화가 적은 데다 이자도 비싸 보험사들이 이 채권 규모를 가장 키워온 것이다.

지난해말 삼성생명 대출채권 중 약관대출이 차지하는 비중은 24.2%였다. 전체 대출채권 중 약관대출 규모가 가장 많았다. 한화생명 약관대출 규모도 전체의 26.9%였다. 교보생명 약관대출 규모는 전체 대출채권의 31.7%를 차지하며 빅3 생보상 중 약관대출 비중이 가장 높았다.

이는 빅3 생보사는 지난해말 이자수익을 크게 늘릴 수 있는 원동력이 됐다. 지난해 삼성생명 이자수익은 6조6819억원을 기록했다. 전년보다 16.6% 급증했다. 같은 기간 한화생명 이자수익은 2조8476억원으로 전년보다 5.4% 늘었다. 다만 교보생명 이자수익은 2조6297억원을 기록해 2015년보다 0.8% 줄었다. 같은 기간 교보생명 약관대출은 다른 생보사가 대출채권을 늘려온 규모보다 낮은 0.7% 증가에 그친 것이 영향을 준 것으로 분석된다.

저작권자 © 시사저널e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