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14회 자동차의 날 기념식…“정부 지원 늘릴 것”
“4차 산업혁명과 시장 경쟁 격화 등 시장 변화에 자동차 업계는 더욱 능동적으로 대처해야 한다.”
주형환 산업통상자원부 장관은 15일 서울시 강남구 그랜드 인터컨티넨탈 파르나스 호텔에서 열린 제14회 자동차의 날 행사에 참석해 “자동차 업계가 미래차 분야 투자 확대와 지속적인 고급차 개발을 통해 성장과 고용의 돌파구를 마련해달라”며 이같이 말했다.
자동차의 날은 1999년 5월 12일 자동차 수출 1000만대 달성을 기념해 2004년부터 시행해 온 행사로 올해로 14회를 맞았다. 주형환 장관은 “자동차 산업은 국내 제조업 전체의 12.7%에 달하는 주요 산업으로 자동차 산업에서 먼저 신규 일자리가 창출돼야 한다”고 말했다.
주 장관은 특히 “자동사 산업은 세계적인 저성장 속에서 신흥 경쟁국 부상과 보호무역 확산으로 위협을 받고 있다”면서 “일자리를 지키고 창출하는 일이 어려운 것은 사실이지만, 자동차 산업은 직접 고용 인력만 34만명에 이르는 만큼 대처가 필수적”이라고 강조했다.
주 장관은 전기차, 자율주행차 등 미래차 산업 생태계를 조기 구축을 위해 정부 차원의 노력을 확대할 예정이라고 전했다. 정부는 현재 전기차 35만대 보급을 목표로 전기차 구매 보조금 지원과 동시에 공공기관 전기차 구매 확대, 과감한 규제 완화 등에 나사고 있다.
주 장관은 “4차 산업혁명 기반기술을 고착시키고 업종 다각화를 적극적으로 지원하겠다”면서 “중소 부품업체 연구개발 비용 부족으로 4차 산업혁명에 대응하지 못하는 일이 업계 연구개발 비용 지원에도 나설 방침”이라고 설명했다.
그는 이어 “자동차 업계가 변화된 여건 속에서 새로운 성장과 고용의 돌파구를 만들 수 있도록 정부가 나서 뒷받침할 계획”이라며 “정부가 주도해 자동차 융합 얼라이언스를 만들고 얼라이언스를 중심으로 양질의 일자리 창출에 나서겠다”고 덧붙였다.
이에 대해 김용근 한국자동차산업협회(KAMA) 회장은 자동차 업계 글로벌 경쟁력을 키우기 위해 근로 유연성을 강화할 필요가 있다고 주장했다. 어려운 경제 여건 속에서 자동차 산업이 자동차 생산국 세계 6위의 위상 유지를 위해서도 근로 유연성이 필요하다는 것이다.
김 회장은 “선진국들과 같이 자동차 회사가 고용을 보장하고 노조는 임금을 양보하는 빅딜을 통해 임금 및 단체협상이 3~4년 단위로 이뤄질 수 있게 해야 한다”면서 “아웃소싱·전환배치·근로시간 조정 등 근로 유연성을 강화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이날 자동차의 날 행사에는 자동차산업 관계자 250여명이 참석한 가운데 자동차산업 발전 유공자 33명에 대해 포상을 수여했다. 김덕모 성창오토텍 고문은 현대차와 테슬라에 전기차 핵심부품을 납품한 공으로 은탑산업훈장을 받았다.
한편 재계의 관심이 모아지고 있는 방미 경제사절단과 관련, 이날 행사에 참석한 정진행 현대차 사장은 “(경제사절단 참석 여부가) 아직 확실히 정해지지 않았다”고 말했다.
앞서 2013년 5월 박근혜 전 대통령의 방미 경제사절단에는 정몽구 현대차그룹 회장이 참석한 바 있다. 올해는 정진행 사장이 대한상공회의소 측으로부터 참석 요청을 받은 것으로 알려졌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