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화정책 완화 정도에 대한 조정이 필요할 수 있다”…실제 금리 인상엔 시간 걸릴 전망

12일 이주열 한국은행 총재가 한국은행 창립 기념사에서 통화정책 방향이 변경될 수 있음을 시사했다. / 사진=뉴스1

이주열 한국은행 총재가 통화정책 변화를 언급했다. 이 총재는 12일 서울 중구 한국은행 별관에서 열린 한국은행 창립 제67주년 기념식에서 “통화정책 완화 정도에 대한 조정이 필요할 수 있다”고 말했다. 이는 기존 ‘통화 완화 기조 유지’와는 큰 차이로 지난번 금융통화위원회 회의 직후 “경기 회복세가 4월 예상보다 강해졌다”는 판단이 바탕이 된 것으로 풀이된다. 다만 시장에선 한국은행이 기준금리 인상을 이른 시기에 시도할 가능성은 크지 않다는 전망을 내놓고 있다.

이주열 총재가 시장에 새로운 신호를 보냈다. 이 총재는 이날 한국은행 창립 기념행사에서 “최근 성장세가 확대되고 있지만 성장경로 불확실성이 여전히 높고 수요측면 물가상승 압력이 크지 않다”며 “그러나 경기회복세가 지속되는 등 경제 상황이 보다 뚜렷이 개선될 경우에는 통화정책 완화 정도 조정이 필요할 수 있으므로 이런 가능성 검토를 면밀히 해 나가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이 총재가 지난해 6월 기준금리를 마지막으로 인하한 이후 통화정책의 조정 필요성을 언급한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이 총재는 2014년 4월에 취임한 이후 2.50%였던 기준금리를 다섯 차례 인하해 현 1.25%로 떨어뜨렸다. 이후 1년동안은 현 수준을 계속 유지했다. 한국 경제가 여전히 대내외 불확실성 속에서 제대로 된 회복세를 보이지 못했다는 판단이었다. 여기에 가계 부채 문제가 끼면서 상방과 하방리스크가 혼재된 상황이었다.

이 총재의 통화 정책 변화 언급은 한국 경제의 회복세와 맞물려 있다. 이 총재는 지난달 금융통화위원회 회의 이후 “국내 경제는 빠른 성장세를 보이고 있다. 이 같은 성장 요인은 글로벌 경기회복세가 확산된 데에 따른 수출 호조가 직접적으로 작용했다”며 “현 여건에서 볼때 7월 전망시 당초 예상보다 상향 조정하지 않을까 생각된다”고 말했다.

이날 행사에서도 그는 “소비 회복세가 여전히 완만하지만 수출이 빠르게 증가하고 투자도 호조를 보이면서 성장세가 확대되고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며 “특히 새 정부의 일자리 창출 등을 위한 재정지출 확대 방안이 실행에 옮겨질 경우 성장세가 더욱 높아질 것”이라 밝혔다.

실제 국내 수출 산업은 지속적인 회복세를 보이고 있다. 국내 수출은 지난해 11월 이후 7개월 연속 증가를 기록하고 있다. 특히 올해 1∼5월 수출은 지난해 같은 기간 대비 두 자릿수 증가율을 보이고 있다. 수출에 대한 향후 전망도 밝다. 한국은행이 발표한 ‘최근의 국내외 경제동향’ 한국은행 보고서에서 글로벌 경기 회복세에 힘입어 수출이 높은 증가세를 보일 것으로 내다봤다.

다만 실제 기준금리 인상까지 이어지기에는 시간이 더 걸릴 전망이다. 이 총재는 기준 금리 인상 전제 조건에 “앞으로 경기회복세가 지속되는 등 경제상황이 보다 뚜렷이 개선될 경우”라 못박았다. 그는 이날 “경제환경을 보면 성장전망을 낙관할 수만은 없게 하는 여러 가지 요인들이 잠재해 있다”며 “보호무역주의 강화, 미국 연방준비제도 정책금리 추가 인상과 보유자산 축소, 주요국의 정치적 불확실성, 북한 관련 지정학적 리스크 등이 있다”고 말했다.

공동락 대신증권 연구원은 “종전까지 내놨던 통화정책 관련 발언과 비교할 때 상당한 변화”라면서도 “이 총재 발언은 연방준비제도이사회(FOMC)를 앞두고 분위기 환기 차원에 가깝다. 따라서 당장 금리를 인상하기보다 경제 여건을 더 지켜볼 여지가 있다. 여전히 대외적인 불확실성이 남아있고 최근 각종 심리 지표가 개선세를 보이고 있지만 이는 지난해 좋지 않았던 것을 되돌리는 수준이다. 아직까진 정상적인 회복경로나 성장경로에 진입했다고 보기 어렵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 시사저널e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