피해신고 5615건 중 1·2단계 판정 280건 불과
5일 오전 11시 35분 가습기살균제피해자가족모임, 가습기살균제참사전국네트워크 등 시민단체들이 청와대 분수대 앞에서 문화행사를 가졌다. 이어 오후 2시에는 피해자 가족이 우 원내대표를 만나 간담회를 가졌다. 단체들은 문재인 대통령이 대선 후보 당시 공약한 국가책임인정, 진상규명, 재발방지책 제시 등 공약 이행을 촉구했다.
정부지원을 받지 못한 3·4단계 피해자의 지원책 마련을 촉구하는 목소리도 나왔다. 피해자 유족 김미란씨는 편지를 통해 “3·4단계 사망자의 죽음도 억울하다”면서 “급성이 아닌 만성이란 이유로 같은 폐섬유화로 죽었지만 지원을 받지 못한 피해자들과 피해자 유족들을 위로해달라”고 말했다. 아들은 4단계 판정을 받고, 본인은 판정 대기 중인 이재성씨는 행사에 참석해 “지난 1년 6개월을 가습기살균제 피해로 일을 할 수 없던 상황”이라면서 “경제적 궁핍으로 일을 강제로 하고 있다”고 토로했다.
환경보건시민센터에 따르면 5월 31일 현재, 가습기살균제 피해신고 접수 건수는 5615건이며 이 중 관련성을 인정받은 건수는 982건이다. 이 안에서도 정부지원을 받을 수 있는 1·2단계 판정을 받은 접수 건수는 280건에 불과하다.
우 원내대표는 이 자리에서 “국정조사 특위 위원장을 맡으며 진상규명을 위해 노력했지만 부족했다”며 “정권이 바뀐 만큼 집권여당 원내대표가 앞장서 참사 규명을 위해 노력하겠다”고 밝혔다. 아울러 3·4단계 피해자 지원책 마련에 대한 의지도 드러냈다. 우 원내대표는 “1·2단계 피해자가 전체 피해자의 5% 남짓”이라며 “조사가 제대로 이뤄졌는지 확인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간담회를 마친 강 대표는 “우 원내대표가 민주당 내 태스크포스 구성과 사회적 참사 진상규명 특별법 통과를 언급한 만큼 앞으로 문제 해결 방법을 찾길 바란다”고 말했다. 현재 국회에는 박주민 더불어민주당 의원이 발의한 사회적 참사 진상규명 특별법이 신속처리안건으로 지정된 채 계류돼 있다. 특별법이 통과되면 가습기살균제 분과가 설치돼 가습기살균제 참사 진상규명 절차를 밟을 예정이다.
한편 청와대는 이날 행사에 대한 브리핑을 발표했다. 청와대에 따르면 문 대통령은 “아직 대책을 제시하지 못한 가습기 살균제 피해 문제에 대해 참 가슴 아프게 생각한다”며 피해자를 직접 만나는 방안에 대해 검토를 지시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