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업들, 투자처 찾기 힘들다 보니 금융기관에 예치
은행 예금에서 잔액이 10억원을 넘는 계좌 규모가 지난해 큰 폭의 증가세를 보였다. 투자처를 찾지 못한 기업들이 은행 금융상품에 저축했기 때문이다.
4일 한국은행에 따르면 지난해 말 기준 은행의 정기예금, 정기적금, 기업자유예금, 저축예금 등 저축성예금 잔액은 1061조340억원으로 나타났다. 1년 동안 5.2%, 52조7250억원 늘었다. 저축성예금은 개인이나 기업이 자산 증식 등을 위해 일정 기간 금융기관에 예치하는 금융상품을 말한다.
저축성 예금 규모에 따라 증가율은 다소 차이를 보였다. 저축성예금을 예금 규모별로 보면 잔액이 10억원을 넘는 계좌의 총예금은 465조8730억원으로 지난해 한 해 7%(30조3150억원) 늘었다. 잔액이 1억원 이하인 계좌는 408조 4660억원으로 1년 사이 3.1%(12조1070억원) 늘어나는 데 그쳤다. 1억원 초과∼5억원 이하인 계좌는 137조8160억원으로 6.4%(8조2390억원) 늘었다. 또 5억원 초과∼10억원 이하는 48조8790억원으로 4.4%(2조640억원) 증가한 것으로 집계됐다.
지난해 '거액계좌' 증가세가 두드러진 것은 기업 자금이 많이 유입된 영향으로 풀이된다. 지난해 기업들이 불확실성으로 인해 투자를 주저하면서 저축이 늘어났다는 분석이다. 수익성이 좋아진 기업들이 투자처를 찾지 못한 자금을 은행에 넣어둔 것이다.
최근 한국은행이 발표한 2016년 기업경영분석에 따르면 지난해 외부감사대상 2만여 개 기업의 매출액영업이익률은 6.1%로 2010년(6.7%) 이후 6년 만에 최고를 기록했다. 여기에 저금리 장기화 등으로 시중유동성이 풍부해진 상황에서 자산가들의 뭉칫돈도 거액 통장에 포함된 것으로 추정된다. 잔액이 10억원을 넘는 저축성예금은 2013년 14조1110억원 줄었지만 2014년 36조1780억원 늘었다. 2015년에도 36조5540억원 급증했다.
고액 저축성예금 증가가 올해에도 이어질지는 좀 더 지켜봐야 할 것으로 보인다. 한은 국민계정 통계를 보면 올해 1분기 설비투자 증가율이 4.4%를 기록하는 등 기업 투자가 늘고 있다. 수출 호조 등으로 기업 투자가 활발해지면 예금 증가세는 둔화할 수 있다. 올해 3월 말 예금은행의 총예금에서 기업이 보유한 금액은 367조5288억원으로 지난해 말보다 4.2%(15조9309억원) 줄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