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직개편 등으로 정책지원 준비…업계 “공공공사 물량 확대될 것” 기대감
HUG는 ‘도시재생 뉴딜지원단’을 구성한다고 2일 밝혔다. 도시재생 뉴딜지원단은 문재인 대통령이 후보 시절 공언한 ‘도시재생 뉴딜 정책’ 지원을 총괄하는 조직이다. HUG 측은 이달 20여명 규모로 태스크포스(TF)를 꾸린 뒤 이 조직을 도시재생 전담 상설 정규조직화 할 계획이다.
도시재생 뉴딜은 재개발‧재건축 사업의 대안으로 떠오르고 있다. 기존 정비사업이 건물을 전면 철거한다면 도시재생 뉴딜은 지역 공동체‧문화 등 사회‧경제 분야 활성화도 도모한다. 문 대통령은 5년 간 국비 총 50조원을 들여 500여곳에서 이 사업을 추진할 방침을 밝힌 바 있다. HUG의 이번 조직개편은 정부의 도시재생 뉴딜 정책에 대한 ‘지원사격’ 성격을 지닌다.
HUG와 같은 국토부 산하 공기업인 LH 역시 조직개편을 단행한 바 있다. HUG와 동일하게 도시재생 뉴딜을 지원하기 위한 LH의 준비작업이다. LH는 지난달 25일 기존의 행복주택본부를 도시재생본부로 개편, 도시재생계획처와 도시정비사업처의 직제순위를 상향했다. 또한 LH는 후속조치로 이번달 중 11개 지역본부에 도시재생 관련 전담조직을 설치할 계획이다.
국토부도 새 정부 정책 추진에 서둘러 나서고 있다. 새 정부의 인수위 격인 국정기획자문위원회에 국토부는 2일 도시재생 뉴딜 사업 이행계획을 보고했다. 현재 국토부는 내부적으로 도시재생 뉴딜 TF를 운영하고 있다. 이후 국토부는 기획재정부 등 타 부처가 참여하는 범부처 TF 구성안도 추진하는 상황이다. 국정자문위 측에서는 이같은 국토부의 도시재생 뉴딜 사업 추진계획에 큰 관심을 보인 것으로 알려졌다.
국토부 및 산하기관의 움직임에 건설업계도 촉각을 곤두세우고 있다. 이같은 움직임이 관급공사 발주물량 증가세로 이어질 수 있기 때문이다. 최근 정부의 SOC 투자감소로 인해 관급물량 확보의 어려움을 건설업계는 전망하고 있다. 이에 새 정부의 도시재생 뉴딜로 새 먹거리 창출과 함께 관급물량을 동시에 확보하겠다는 것이 건설업계의 계획이다.
건설업계 관계자는 “최근 관급공사 물량이 감소하는 상황이다. 기술형입찰 시장의 경우도 새로 바뀐 입찰제도로 인해 물량 자체가 많지 않다. 이 상황에서 정부의 뉴스테이 사업도 지지부진해 공사물량 확보의 어려움이 있다”며 “기관, 정부부처의 조직개편으로 도시재생 뉴딜을 통한 공사물량 확보에 청신호가 켜졌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