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정규직 대거 해직 논란에도 충원에만 골몰
비정규직의 정규직 전환을 피하기 위해 자체 배송인력인 쿠팡맨을 대거 계약 해지했다는 의혹을 받고 있는 이커머스 기업 쿠팡이 사태 해결을 위한 노력은 뒷전인채 신용 채용에만 주력하고 있어 눈총을 받고 있다. 쿠팡맨 대량 해직 사태가 종식되지 않았음에도 사측이 부족한 인력을 채우기 위해 충원에만 골몰하고 있다는 지적이 불거지고 있다. 일각에서는 앞서 회사를 떠난 전직 쿠팡맨들에게도 재입사를 요청했다는 주장까지 나와 논란이 일 전망이다.
2일 업계에 따르면 소셜커머스 업체 쿠팡은 현재 쿠팡맨을 모집 중이다. 쿠팡은 ‘고객감동을 전하는 로켓배송 쿠팡맨이 되세요’라는 문구와 함께 쿠팡맨 모집 공고를 올렸다. 최초 입사 시 6개월 계약직(평가에 따른 정규직 전환 및 계약 연장 가능)과 함께, 연 최소 4000만원 부터 최대 4500만 원 이상(주 6일 근무기준, 인센티브 포함), 배송차량 및 유류비 전액 지원, 성별·나이·학력·경력제한 없음 등 내용이 게재돼 있다.
특히 공고에는 ‘재입사&재지원자 우대 및 환영’하겠단 내용이 눈에 띈다. 이에 대해 쿠팡 사태대책위원회(대책위)의 강병준(창원지역 쿠팡맨)씨는 “그동안 주장했던 ‘인력 물갈이’와 같은 맥락이다”면서 “사람을 막상 자르고 보니까 일할 사람이 없는 거다. 그래서 그렇게 급하게 사람을 뽑고 있는 것”이라고 주장했다.
강씨에 따르면 사측은 전직 쿠팡맨들에 전화해서 재입사를 요청했다. 강씨는 “전직 쿠팡맨들에 전화 해서 다시 한 번만 입사해주면 안되냐고 읍소 하고 있다”고 말했다.
이에 대해 쿠팡 관계자는 “이전부터 재입사, 재지원자 우대 정책을 진행해 왔다”며 “하루 아침에 생겨난 정책이 아니다”고 해명했다.
모집공고에는 ‘최초 입사 시 6개월 계약직이며 평가에 따른 정규직 전환 및 계약 연장 가능’이라는 내용도 적시됐다. 쿠팡 대책위 자료에 따르면, 쿠팡은 지난 2월부터 4월까지 두 달 동안 총 216명을 계약 해지했다. 이들의 평균근속기간은 10.4개월이다. 이들 중 64%인 139명은 근속기간 6개월 만에 사측으로부터 기간만료를 통지받았다.
강씨는 기자와의 통화에서 “처음에는 6개월로 계약을 한다. 관례적으로 2년까지는 계약 연장이 된다고 들었다. 처음에는 못해도 2년은 채운다는 식이었다”면서 “사측은 계약 당시 열심히만 하면 정규직을 시켜주겠다고 했다. 다들 그걸 믿고 들어왔지만 어느 순간 태도가 바뀐 것”이라고 토로했다.
한편 쿠팡 비대위측은 지난달 30일 광화문 국민인수위원회에 문재인 대통령에게 전하는 전·현직 쿠팡맨 75명의 탄원서를 제출하고, 정의당 당사를 방문했다. 대책위는 쿠팡이 차량 블랙박스를 통해 노동자를 감시했다고 주장하며, 사측을 통신비밀법 위반 등으로 고소조치할 계획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