양측 소송전 불사…강력 대응 방침

동화면세점 담보 주식을 둘러싼 호텔신라와 김기병 롯데관광개발 회장 간 갈등이 소송전으로 확대되고 있다. 동화면세점의 경영권을 두고 김 회장은 경영권을 넘기려 하고, 호텔신라는 돈으로 받겠다며 폭탄돌리기로 번지는 양상이다.

동화면세점은 30일 최대주주 김기병 롯데관광개발 회장을 상대로 한 호텔신라의 주식매매대금 청구 소송에 대해 계약 위반이라고 비판했다. 호텔신라 측이 시장 상황과 경쟁사 진입을 막기 위해 투자를 결정해 놓고 말을 바꾸고 있다는 주장이다. 

호텔신라는 지난달 김기병 회장을 상대로 주식매매대금 청구소송을 내고 김기병 회장이 보유 중인 롯데관광개발 주식에 대한 채권 가압류를 신청한 상태다.

김 회장은 지난 2013년 동화면세점 주식 19.9%를 600억원에 매각하되 계약 체결일로부터 3년이 지난 후 풋옵션(매도청구권)을 행사할 수 있는 내용의 계약을 호텔신라와 맺었다. 김 회장은 동화면세점의 최대 주주로 보유한 동화면세점 주식 19.9%(358,200주)를 호텔신라에 600억원에 매각하되 계약체결일로부터 3년이 지난 후 풋옵션(매도청구권)을 행사할 수 있도록 하는 내용이다. 김 회장은 풋옵션 상환을 담보하기 위해 자신이 보유한 30.2%(543,600주)의 주식을 추가로 호텔신라에 담보물로 제공하기로 했다.

동화면세점은 채무 변제 대신 주식매매계약서에 따라 풋옵션(매도청구권) 담보로 맡긴 주식 30.2%를 호텔신라에 넘기겠다는 입장이다. 호텔신라가 지난해 6월 3일 풋옵션을 행사함에 따라 김 회장은 지난해 12월 18일까지 715억원을 호텔신라에 상환해야 했지만 이를 갚지 못했다. 715억원은 주식매매대금 600억원에 3년 7개월 간의 이자 115억원(연5% 적용)을 합한 금액이다.

동화면세점 관계자는 “김 회장은 호텔신라가 작년 6월 매도청구권을 행사함에 따라 19.9% 주식을 재매입하기 위해 백방으로 노력했으나 여러가지 여건상 재매입에 필요한 재원을 확보하지 못해 부득이하게 담보로 제공한 주식을 호텔신라에 귀속시키겠다는 의사를 2016년 12월16일 호텔신라에 전달했다”고 밝혔다. 


계약대로라면 호텔신라는 기존에 매입한 주식 19.9%(35만8200주) 외에 담보주식 30.2%(54만3600주)를 추가로 취득하게 돼 동화면세점의 50.1%를 소유한 최대주주에 오르고 김 회장 및 특수관계인은 잔여지분 49.9%를 소유하게 된다. 하지만 호텔신라는 이를 거부하고 채무 변제를 요구하고 있다. 호텔신라는 동화면세점을 맡아 운영할 의지가 없다며 김 회장에게 채무 상환을 요구해왔다.

동화면세점 측은 즉각 반발하고 나섰다. 계약 당시 호텔신라 측은 질권설정계약까지 체결해 김 회장의 추가 지분 30.2%에 대해 담보권을 설정하고 해당 주식의 실물까지 가져갔다. 이는 계약 당시 동화면세점의 경영권을 노린 조치였다는 것이다. 

 

동화면세점 관계자는 "시장 상황이 달라졌다고 주식매매대금을 반환하라고 주장하는 행태는 대기업의 힘을 앞세운 전형적인 갑질 횡포나 다름없다"고 비판했다.

신세계와 동화면세점 간 매각협상이 진행되던 당시 신세계의 면세점사업 진출을 막으려는 의도로 호텔신라가 지분 매각을 요청했는데 태도가 달라졌다는 주장인 셈이다. 동화면세점 관계자는 "신세계와 동화면세점 간 매각 협상이 긴밀히 이뤄지던 시기인 2013년 4월말 이부진 사장이 사무실로 직접 찾아와 신세계를 견제하며 본인에게 지분 일부를 사게 해달라고 부탁한 바 있다”며 “김 회장은 이 부탁을 받아들인 것인데 호텔신라의 입장이 바뀌었다"고 말했다.

다만 이에 대해 호텔신라 측은 “동화면세점의 경영권은 채무를 상환하지 못할 경우에 대비한 담보 성격”이라며 “경영권을 노렸다면 처음부터 매매 계약을 체결하지 풋옵션형태의 계약을 할 이유가 없었을 것”이라고 말했다. 이어 “김 회장이 롯데관광개발의 대주주로서 채무를 이행할 능력이 충분하다고 보고 법원도 이를 받아들여 가압류 신청을 용인한 것”이라고 덧붙였다. 이부진 사장과 관련된 계약 정황과 관련해서는 ​동화면세점 측이 일방적으로 주장한 것​이라고 일축했다.  

 

동화면세점의 경영권을 두고 김 회장은 경영권을 넘기려 하고 호텔신라는 돈으로 받겠다며 폭탄돌리기로 번지는 양상이다. / 사진=뉴스1

저작권자 © 시사저널e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