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법조·금융당국 출신 인사들 대거 영입…방패막이·로비창구 이용 가능성

손해보험업계에 정·관계 인사가 대거 영입하면서 낙하산 논란을 일으키고 있다. / 이미지=조현경 디자이너
손해보험업계에 관료출신들이 대거 영입되면서 낙하산 논란이 벌어지고 있다. 올해도 손보업계는 정부 부처 고위관료 출신과 금융위원회·금감원 출신 등을 사외이사와 고위 임원 자리에 앉혔다. 은행 등 금융권 전반이 낙하산 인사 논란을 피하기 위해 정피아와 금피아를 줄이려는 노력과 대조된다.

30일 금융권과 손해보헙업계에 따르면 삼성화재, 현대해상화재, 동부화재, KB손보, 메리츠화재, 한화손보, 흥국화재, 롯데손보, NH농협손보 등 국내 9대 손보사들이 정치, 법조, 금융관료 출신들을 중요 자리에 대거 영입한 것으로 나타났다.

손해보험 시장에서 70%이상 점유율을 차지하는 삼성화재, KB손보, 현대해상, 동부화재 등 상위 4개사는 낙하산 인사들이 자리를 잡은 지 오래다.

삼성화재는 정치, 법조계 인사를 두고 있다. 문효남 사외이사는 부산고등검찰청 검사장 출신이다. 삼성화재에서 2012년 6월부터 사외이사로 활동했다. 문 사외이사 임기 만료일은 2018년 3월 23일이다. 삼성화재는 이외에도 박대동 전 예보 사장이자 전 새누리당 의원을 사외이사로 선임했다. 임기는 올해 3월부터 2020년 3월23일까지다.

KB손보도 보험과 별 관련성이 없는 인사를 영입했다. 박진현 사외이사는 경북지방경찰청 청장을 지냈다. 임기는 올해 3월부터 2018년 3월 17일까지다. 또 KB손보는 감사위원에 신응호 전 금감원 부원장보를 선임했다. 임기는 박 사외이사와 같다.

현대해상은 법조계 인사와 금융당국 출신을 영입했다. 현대해상은 사외이사에 김희동 서울지방법원 의정부지원 부장판사를 영입했다. 김 사외이사 임기는 2019년 3월24일까지다. 또 현대해상은 성인석 전 금감원 손해보험서비스국장을 전무로 영입했다.

동부화재는 사외이사에 정치, 금융당국 출신을 두루 영입했다. 동부화재는 대통령비서실 부이사관과 공정거래위원회 사무처장을 역임한 박상용 사외이사를 두고 있다. 임기는 2018년 3월20일까지다. 또 재무부 보험국‧이재국‧국제금융국 경력을 가진 김성국 사외이사는 2018년 3월18일 임기가 만료된다. 이승우 사외이사는 재정경제부, 대통령비서실 국민경제정책비서관, 금융감독위원회 부위원장, 예금보험공사 사장을 지냈다. 임기는 2018년 3월17일까지다.

메리츠화재, 한화손해보험, 흥국화재, 롯데손해보험, NH농협손해보험에도 정치, 법조, 금융당국 관계자가 사외이사 등에 영입돼 있다.

메리츠화재 강영구 사장은 금감원 보험업서비스본부장 부원장보를 엮임했다. 메리츠화재에서 윤리경영실장으로 일하고 있다. 임기는 올해 12월31일까지다.

한화손보도 금융당국, 정부부처 관료 출신이 강세다. 고명진 한화손보 상무는 금감원 보험감독국, 자산운용감독국, 복합금융감독실 팀장을 한 바 있다. 이상용 사외이사는 재경부 경제협력국장 예금보험공사 사장을 보냈다. 김성호 사외이사는 서울지방국세청장, 조달청장, 보건복지부 장관을 엮임했다. 모두 2018년 3월에 임기가 만료된다.

흥국화재에는 대구·수원지방법원, 서울고등법원 판사를 엮임한 김동진 사외이사가 있다. 롯데손보 민안기 사내이사는 전 금감원 부국장으로 금융당국 출신이다. 임기는 올해 3월부터 2019년 3월16일까지다.

NH손보는 감사원, 금감원, 재경부 고위 간부를 영입했다. 한정수 상근감사위원은 감사원 공직감찰본부장·지방행정감사국장·지방건설감사단장을 보냈다. 제정무 사외이사는 금감원 보험담당 부원장보·감사실장을 엮임했다. 김두현 사외이사는 재경부 일반직 고위공무원이었다. 한 감사위원과 김 사외이사 임기는 2018년 3월까지다. 제 사외이사 임기는 올해 6월12일까지다.

손보업계는 사외이사 등에 고위급 관료 출신을 영입하는 걸 무조건 비판해선 안 된다는 입장이다. 한 손보사 관계자는 "보험 관련 전문가를 영입하다보면 관련 전문성을 가진 당국 관계자 역량도 필요하다"고 말했다.

다만 보험에 대한 이해가 부족하고 보험 관련 전문성이 없는 정관계 인사나 법조·금융당국 관계자를 영입하는 것에는 비판적인 시각이 많다. 금융권 한 사외이사는 "업계 전문성이 부족한 금융당국과 법조계, 정치권 인사를 무조건 영입하는 것은 결국 금융사가 해당 인사 네트워크를 활용할 기대를 갖는 것"이라며 "정관계 퇴직자 인사를 보험업계가 방패막이나 로비창구로 이용될 가능성을 결코 배제할 수 없다"고 전했다.

 

저작권자 © 시사저널e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