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현직 쿠팡맨, 문재인 대통령에 탄원서 제출
문재인 정부 들어 비정규직의 정규직 전환이 사회적인 화두로 부각되면서 국내 1위 소셜커머스 기업 쿠팡의 자체 배송인력인 쿠팡맨 해직 사태 추이가 초미의 관심사가 되고 있다. 전·현직 쿠팡맨들로 구성된 쿠팡 사태대책위원회(대책위)가 사측에 맞서 대통령 앞으로 탄원서를 제출하면서 사태가 전환 국면을 맞고 있다. 대책위는 정의당 당사 방문도 예고하고 있어 쿠팡 사태가 자칫 정치권 문제로 비화할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게 됐다.
쿠팡 대책위 강병준(창원지역 쿠팡맨)씨는 30일 오전 10시 서울 광화문 세종로 공원에서 광화문 국민인수위원회에 전·현직 쿠팡맨 75명의 탄원서를 제출했다.
대책위 측이 밝힌 탄원서 제출 이유는 쿠팡이 지난 2월부터 4월까지 쿠팡맨을 대량 해고한 데 있다. 대책위가 배포한 자료에 따르면 쿠팡은 전체 쿠팡맨 2237명 중 9.7%에 달하는 216명을 해고했다. 이들이 밝힌 216명의 평균 근속기간은 10.4개월이다.
강 씨는 문재인 대통령에게 제출한 탄원서에서 “3월쯤 쿠팡 창원지역에서 배송실적이 1등이었던 동료가 사전 통보 없이 계약해지 통보를 받은 그 다음날부터 출근을 못하게 됐다”면서 “동료는 계약해지 될 만한 특별한 사유가 없었기 때문에 당연히 계약이 연장될 것으로 알고 정상출근을 했지만, 쿠팡은 동료들과 작별의 시간도 주지 않고 계약해지를 해버렸다”고 밝혔다.
대책위는 쿠팡이 쿠팡맨들의 정규직 전환을 막기 위해 계약만료를 이유로 해고통지 했다고 주장한다. 일명 ‘인력 물갈이’다. 강씨는 “쿠팡은 현재 비정규직 제도의 맹점을 최대한 활용해 인력감축을 넘어선 인력 물갈이를 하고 있다”면서 “두 달 사이에 전체 쿠팡맨의 10%에 해당하는 218명의 직원을 계약해지하더니, 지금은 인력 부족을 이유로 신규채용에 목을 매달고 있다”고 토로했다.
또 강씨는 “쿠팡은 직원들에게 2017년 4월부터 근로자 과반의 동의 없는 임금삭감을 단행해 많은 쿠팡맨들이 스스로 직장을 떠나게 만들었다”고 지적했다.
아울러 이들은 사측이 차량 블랙박스에 녹음된 직원 간 통화 내용을 근거로 쿠팡맨에 내부 징계를 내렸다고 주장하고도 있다. 이와 관련, 대책위는 사측을 통신비밀법 위반 등으로 고소 조치할 예정이다.
한편, 앞서 이달 11일 강씨 등 창원지역 쿠팡맨들은 고용노동부 창원지청에 김범석 쿠팡 대표를 근로기준법 위반 혐의로 고소한 바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