업계, 새정부 물가안정기조 부담으로 작용
지난해부터 이어진 가공식품의 가격 인상이 새 정부 출범 이후 줄어들 것으로 보인다.
11일 식품업계에 따르면 올해 들어서는 지난달까지만 가격 인상이 10건 넘게 이뤄지는 등 대선을 앞두고 연이어 식품값이 올랐다. 이를 두고 일각에서는 권력 공백기에 업체들이 가격을 줄줄이 올린다는 비판이 나오기도 했다.
실제로 지난해 말부터 맥주, 음료, 빵, 라면, 참치캔 등 각종 식품 가격 인상이 이어졌다. 대선을 하루 앞둔 지난 8일 롯데칠성음료는 칠성사이다, 펩시콜라, 밀키스, 레쓰비, 실론티, 솔의눈, 핫식스 등 7개 제품에 대한 편의점 판매 가격을 평균 7.5% 인상한다고 밝혔다. 편의점 판매 제품 가격이 오른 만큼 향후 대형마트 등 타 유통망에서 판매 가격도 오를 것으로 전망된다.
앞서 삼양식품은 이달 1일부터 12개 브랜드 제품 권장소비자가격을 평균 5.4% 인상했다. 삼양라면 등 주요 제품 가격이 50원씩 오른 가격으로 판매되고 있다. 농심은 지난해 12월 신라면, 너구리 등 12개 브랜드의 권장소비자가격을 평균 5.5% 인상했다.
지난해 11월 오비맥주는 카스, 프리미어OB 같은 주요 품목의 출고가를 평균 6% 인상했다. 같은 달, 코카콜라는 코카콜라와 환타 출고가를 평균 5% 끌어올렸다. 하이트진로도 지난 1월 하이트, 맥스 등 전 맥주 브랜드의 공장출고가격을 인상했다.
업계에서는 새정부 출범 이후 이같은 가격 인상이 당분간은 주춤할 것으로 내다보고 있다. 이미 대통령 선거 전에 여러 품목의 가격 인상이 이뤄졌기 때문이기도 하지만 문재인 정부가 민생경제 안정을 위해 물가 잡기에 나설 것이라는 기대도 작용했다. 또 이같은 새정부의 기조는 기업들이 가격 인상에 신중해 질 수 밖에 없기 때문이다.
정부도 식품 가격 불안에 대한 대응에 나섰다. 문재인 대통령이 취임한 10일 농림축산식품부는 농식품 수급 점검회의를 열고 주요 품목에 대한 가격모니터링·분석을 강화하기로 했다. 최근 관련 업계의 가격 인상으로 소비자 부담 증가가 우려되는 라면, 치킨 등은 정부의 역할에 한계가 있는 만큼 민관소통 및 주요 품목에 대한 가격모니터링·분석 강화 등을 추진해 합리적 가격을 유도한다는 계획이다.
업계 관계자들은 당분간 기업들이 대대적인 제품 가격 인상을 시행하지는 않을 것으로 내다봤다. 식품업계 관계자는 “업체의 입장에서는 새 정부 출범 후에는 가격을 올리기 부담스러운게 사실”이라며 “때문에 상대적으로 가격 인상과 제품 규격 변화 등은 통제가 덜한 임기 막판에 가격 인상이 많이 이뤄진다”고 말했다.
이에 권력 공백기에 업체들이 가격을 줄줄이 올린다는 비판이 나오기도 했다. 소비자단체협의회 관계자는 “어수선한 정국과 국민들의 관심이 정치권으로 집중되는 시기를 틈타 원가 부담을 소비자에게 떠넘기려는 기업행태”라고 비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