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일 25만대 리콜 여부 두고 정부세종청사서 비공개 청문회 진행

서울 서초구 양재동 현대기아자동차 사옥 로비에서 직원들이 오가고 있다. /사진=뉴스1
현대·기아자동차 아반떼, 모하비, 쏘렌토 등 12차종 25만대의 강제 리콜 여부를 결정하는 청문회가 8일 오후 비공개로 열린다. 이번 청문회는 현대차가 국토교통부(국토부)의 리콜 요구를 거절하면서 열리게 됐다. 이후 리콜 결정이 내려질 경우 현대차는 세타 2 엔진 리콜 건에 더해 총 42만건의 대규모 리콜을 진행하게 된다.

 

8일 국토교통부에 따르면 김광호 전 현대자동차 부장의 제보로 촉발된 현대·기아차 5, 12차종 25만대에 대해 강제 리콜할지를 가리는 청문회가 정부세종청사에서 열린다. 이번 청문회는 현대차는 국토부의 자동차 리콜 결정에 대해 사상 처음으로 해명의 기회를 달라며 이의를 제기해 열리게 됐다

 

앞서 국토부는 3월과 4월 제작결함 심사평가위원회를 열어 아반떼 등 3차종 진공 파이프 손상 현상 모하비 허브 너트 풀림 현상 제네시스, 에쿠스 캐니스터 통기저항 과다 산타페 등 5차종 R 엔진 연료호스 손상 현상 소나타 등 3차종 주차브레이크 미점등 등 5건의 결함에 대해 리콜을 결정했다.

 

당시 현대차는 기술적 부분에 대한 추가적인 설명이 필요하다는 입장을 들며 국토부의 리콜 요구를 거부했다. 국토부가 안전 운행에 지장을 준다고 본 국토부의 조사 결과를 수용할 수 없단 뜻을 밝힌 것이다. 정부의 자발적 리콜 요구를 자동차 업체가 거부한 경우는 이번이 처음이다.

 

현대차는 현재 세타 2 엔진 결함에 대한 대규모 리콜을 진행 중이다. 현대차는 지난달 26일 해당 리콜로 2000억원의 비용이 발생해 1분기 영업이익이 감소했다고 밝힌 바 있다. 이번 청문회에서 강제 리콜 명령이 내려지면 현대차는 총 42만대 규모의 대규모 리콜을 진행해야 하는 부담을 안게 된다. 이는 영업이익 하락세에 있는 현대차에 악재다.

 

정부 측에서는 이번 청문회에서 자동차정책과장 등 실무자와 조사를 담당했던 자동차안전연구원의 전문가 10여명이 참석해 리콜 필요성을 주장한다. 현대차 측은 품질 및 법무팀 관계자 7~8명이 참석해 각 사안에 대해 리콜 불필요 또는 무상 수리 등으로의 완화를 주장한다.

 

청문회가 끝나면 청문주재자는 청문조서와 의견서를 국토부에 제출한다. 국토부는 이를 토대로 현대차 강제 리콜에 대한 최종 결론을 내리게 된다.

 

국토부 관계자는 “(강제리콜 번복이) 불가능한 건 아니다. 국토부는 청문 주재자의 의견을 들어 상당히 납득할 만하다면 반영하도록 되어 있기 때문이라며 그간 사례가 없었기 때문에 지켜봐야 할 것이라고 밝혔다. 강제 리콜 결정 여부는 빠르면 이번주 내 나온다.  

저작권자 © 시사저널e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