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T “전국망 최초 적용” VS SK텔레콤 “우리도 해당 기술 있어”

KT 광화문빌딩 West 1층 KT 스퀘어에서 강국현 KT 마케팅부문장이 모델들과 함께 ‘배터리 절감 기술’을 소개하고 있는 모습. / 사진=KT

KT와 SK텔레콤이 스마트폰 배터리 절감 기술 최초 타이틀을 놓고 입씨름을 벌이고 있다. 해당 기술은 스마트폰 사용자들의 1순위 고민인 배터리 사용시간 문제와 직결돼 가입자 모집에도 큰 영향을 미치기 때문이다.

12일 KT는 기자간담회를 통해 이름도 C-DRX(Connected mode Discontinuous Reception)란 기술을 발표했다. 강국현 KT 마케팅부문장은 “CDRX를 적용하면 스마트폰 배터리 사용시간을 35~45%까지 늘릴 수 있다”며 “CDRX를 전국망에 적용한 것은 KT가 국내 최초”라고 설명했다.


CDRX는 쉽게 말해 데이터가 오가지 않는 순간 절전모드를 유지하게 해 배터리 소모를 줄여주는 기술이다. 자동차 연비를 높이기 위해 신호를 대기할 때 잠시 시동이 꺼지게 하는 기술과 비슷하다. 쓸데없는 배터리 소모를 없애줘 스마트폰을 충전하지 않고 더 오래 사용할 수 있다.

KT가 CDRX를 발표하자 경쟁사인 SK텔레콤도 해당 기술을 갖고 있다며 치고 나왔다. SK텔레콤 관계자는 “CDRX 솔루션을 지난해 5월 전국망 구축 완료하고 일부 지역에서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며 “SK텔레콤은 4월 초부터 갤럭시 S8 등 신규 단말 출시를 위해 순차적으로 기지국 업그레이드를 시행 중”고 밝혔다.

 

KT처럼 전국망에 적용한 것은 아니지만 어쨌든 해당 기술을 갖고 있다고 SK텔레콤은 주장하고 있다. SK텔레콤은 아직 수도권 및 충청도 지역에서만 해당 기술을 적용하고 있다.

이통사들이 이처럼 해당 기술 최초 타이틀에 목을 매는 것은 배터리 문제가 갈수록 중요해지고 있기 때문이다. 스마트폰 이용자들이 고화질 영상 등 점점 다양한 기능을 즐기기 시작하면서 배터리 문제가 업계 최고의 화두로 떠올랐다. 특히 갤럭시S8은 안전문제를 고려해 배터리 용량을 크게 늘리지 않았기 때문에 배터리 효율을 높여주는 소비자들은 이동통신사로 이동할 가능성이 높다.
저작권자 © 시사저널e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