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8년 출범 첫해 3억원서 올해 630억원 예상…운영점포 83개까지 늘릴 계획

이마트 로컬푸드가 도입 10년만에 누적 매출 2000억원을 넘어섰다. / 그래픽 = 시사저널e

이마트 로컬푸드가 도입 10년만에 누적 매출 2000억원을 넘어서며 꾸준한 성장세를 보이고 있다.


이마트는 로컬푸드가 올해 1분기에 165억원의 매출을 올리며 누계 매출 2011억원을 기록했다고 13일 밝혔다. 로컬푸드(local food)는 장거리 운송을 거치지 않고 생산지로부터 반경 50㎞ 이내 지역에서 소비되는 지역 농산물을 뜻한다. 2008년 전주점 파일럿 테스트를 시작으로 2009년에 영·호남 지역 8개 점포에서 본격적으로 운영되기 시작했다.

이마트의 로컬푸드 매출액은 지난해 500억원을 넘어섰다. 올해는 630억원에 이를 전망이다. 2008년 출범 첫 해 매출액이 3억원이었던 것과 비교하면 10년 만에 200배가량 성장한 셈이다. 이마트는 로컬푸드 운영 점포 수도 지난해 79개에서 올해는 83개까지 늘릴 계획이다.

이마트 로컬푸드는 최대 6단계에 이르는 농수산물 유통 구조를 2단계로 축소했다. 생산자와 직거래를 통해 물류비, 중간 마진 등을 줄여 기존 가격보다 10~20% 싸게 팔고 있다. 수도권 인근 중앙 신선식품 전용 물류센터로 농산물을 가져왔다가 다시 매장으로 분배할 필요가 없어 시간과 비용이 절약되고 환경오염도 줄일 수 있다. 가격 측면에서도 기존의 유통 방식보다 유통 단계가 짧아 경쟁력이 있는 셈이다.

로컬푸드는 물류 시간 단축 효과로 당일 수확하거나 어획한 상품을 당일 판매할 수 있어 더욱 신선한 점이 특징이다. 서울시 강남구 율현동 농장에서 아침에 수확한 유기농 쌈채소가 2시간이면 이마트 양재점에서 매장 오픈과 동시에 판매되고 있으며, 전날 밤 어획한 고등어가 새벽 6시 부산 공동어시장 경매를 거쳐 오전이면 경남 지역 이마트에서 구입할 수 있다.

이마트는 채소와 과일 중심이었던 로컬푸드를 수산물과 축산물로도 확대할 예정이다. 이마트는 로컬푸드 중 지역 판매를 통해 상품 경쟁력이 입증된 우수 상품을 선별해 전국 이마트로 공급 점포를 늘려나갈 방침이다.

민영선 이마트 신선식품 담당 상무는 “신선식품의 양대 축인 신선도와 가격 경쟁력 측면에서 월등히 우수한 로컬푸드는 이마트 신선식품의 핵심경쟁력으로 자리잡았다”며 “이마트는 로컬푸드를 지방 소비자의 장바구니 물가 부담을 낮추는 것은 물론 지역 경제와 함께 동반 성장할 수 있는 상생 플랫폼으로 육성하겠다.”고 밝혔다. 

 

저작권자 © 시사저널e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