채무재조정 부결시 시중은행 충당금 2조3000억원 늘어
시중은행의 2분기 실적이 악화될 전망이다. 대우조선해양 채무재조정이 부결되면서 대우조선해양이 P플랜에 들어갈 전망이 나오고 있기 때문이다. 금융당국은 대우조선해양이 P플랜으로 갈 경우 시중은행의 위험노출액에 대해 충당금을 100% 쌓아야 한다는 가이드라인을 정한 상태다. 이 가이드라인에 따라 시중은행들이 지금보다 2조3675억원 충당금을 더 적립해야 하는 상황이다.
금융권에 따르면 대우조선 익스포저가 가장 많은 금융사는 하나금융이다. 대우조선이 P플랜으로 가면 하나금융은 충당금으로 4989억원을 더 쌓아야 할 것으로 예상된다. 조건부 자율협약(3427억원)에 비해 1500억원 이상 많다.
KB금융은 863억원에서 2750억원으로 쌓아야할 충당금이 늘어난다. 충당금이 3배로 많아진다. 1분기에 이를 반영하면 순이익이 3분의 1정도 줄어든다. 우리은행은 19억원에서 429억원으로 400억원 이상 늘어난다. 신한지주는 P플랜 가동시 충당금으로 1270억원을 새로 쌓아야 한다. 이어 기업(186억원), JB(161억원), BNK(92억원) 순으로 충당금을 쌓게 될 전망이다.
은행 고위 관계자는 "대우조선이 P플랜으로 가면 추가 적립금으로 수익성 하락이 예상된다"며 "하지만 정부가 대우조선 회생을 위해 은행 참여를 요구하고 있다"고 말했다.
다만 사채권자 집회가 원만하게 합의되면 시중은행은 담보채권 7000억원 가운데 80%(5600억원) 출자전환과 선수금환급보증(RG) 5억달러 추가 지원에 대한 충당금 부담만 지면 된다.
이 경우엔 출자전환 주식의 100% 손실처리와 추가 RG지원에 대한 10% 충당금 적립을 가정할때 은행들의 추가 충당금적립액은 4411억원에 그칠 것으로 관측된다.
은행 관계자는 "시중은행은 이러한 채무재조정 방안에 구두로 합의한 상황"이라며 "이번주 내에 시중은행이 순차적으로 합의서를 제출할 것으로 보인다. 다만 기관 및 개인 투자자들 동의가 어려워 P플랜에 대비해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국민연금 기금운용본부는 지난 5일 투자위원회를 개최하고 산은에 부실기업 대주주 책임을 먼저 이행하라며 10일까지 채무 재조정 수정안을 제시하라고 요구한 바 있다.
특히 출자전환 비율과 전환 가액, 신규 투입 자금, 만기연장 비율 등을 사채권자의 피해를 최소화할 수 있는 방향으로 수정할 것을 요구했다. 산은과 수출입은행 추가 감자와 21일 만기가 돌아오는 회사채에 대한 우선 상환 등 회사채 원금의 일부 상환 및 상환 보증 등도 요구했다.
산은은 국민연금 요구사항을 거부한 상황이다. 이에 따라 대우조선의 P플랜 돌입이 현실화됐다는 전망이 나온다. 지난 10일 산은이 직접 나서 기관투자자 경영진을 설득하겠다며 설명회를 열었지만 국민연금에서는 팀장급 이하 실무직원만 참석했다.
은행 관계자는 "전반적인 분위기는 P플랜 실행쪽으로 가는 모습"이라며 "시중은행 입장에서는 충당금 규모를 놓고 혼란이 일어날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