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33개 점포를 6월까지 32개로 축소 방침…노조 "구조조정 포석"vs 사측 "인적 구조조정 없다"

한국씨티은행(행장 박진회·사진)의 점포 축소를 두고 노사 갈등이 커지고 있다. / 사진=뉴스1

한국씨티은행의 점포 축소를 두고 노사 갈등이 깊어지고 있다. 씨티은행은 지점을 기존의 20%만 남기는 강력한 통폐합을 추진중이다. 씨티은행 노동조합은 구조조정을 위한 통폐합이라며 철회를 요구했다.

한국씨티은행은 오는 6월까지 기존 지점을 전체 133개에서 32개로 줄일 계획이다. 고객 자산관리(WM) 강화와 디지털금융 강화가 목표다.

씨티은행 관계자는 "씨티은행의 목표는 지점수 조정이 아니라 급변하는 디지털 환경과 고객의 금융 서비스 이용 방식에 발 맞추는 것"이라며 "이번 점포 축소 전략은 고객 대부분이 비대면 채널에서 일어나는 변화에 맞추기 위한 것"이라고 말했다.

그러나 씨티은행 노조는 점포 축소 계획이 노사 합의 없는 구조조정을 위한 포석이라고 밝혔다. 32개 통합 점포 대부분이 서울에 있는 상황에서 직원들의 거주지 임차 계획이 없기 때문이다. 노조에 따르면 점포가 폐점되는 직원들의 대부분은 서울 통합 지점에서 콜센터 업무를 해야한다.

김호재 씨티은행 노동조합 부위원장은 "통합 점포가 대부분 서울에 있다. 지역에 사는 직원들의 임차 문제 등 계획이 전무하다"며 "지방 여직원들의 경우 가정을 포기하든지 은행을 나가든지 해야 한다. 인원 구조조정을 위한 사전 포석이다"고 말했다.

특히 노조는 지방 지점들이 사라져 지방 고객들의 불편이 커진다고 밝혔다. 김 부위원장은 "사라지는 101개 영업점의 상당 수가 지방 영업점들이다. 각시도 마다 1개씩 밖에 없는 영업점인 제주, 창원, 울산, 천안, 청주 등이 폐점을 하면 해당 지역 고객들은 통합 영업점을 방문하기 위해 엄청난 불편을 겪어야 한다"고 말했다.

이어 "사측은 비대면 거래를 통해 고객이 방문할 필요가 없다고 하지만 본인 확인이 필요한 비밀번호 변경, 법인 거래, 방카슈랑스 판매 등에 대해 대책이 없는 상황"이라고 밝혔다.

이에 씨티은행 관계자는 "인적 구조조정 계획은 없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 시사저널e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