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서울 고용불안 심각…관련업계 "정부 나몰라라 분통"

정부의 사드(THAAD·고고도 미사일방어체계) 배치 결정에 대한 관광·유통업계의 불만이 극으로 치닫고 있다. 이들 업계는 중국의 경제보복 장기화로 생존권이 위협받고 있다면서 “차기 정부에서 사드배치의 타당성을 검토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6일 오후 서울 여의도 국회 의원회관에서 정의당 김종대 의원실, 무소속 김종훈 의원실 등 주최로 열린 '사드배치 강행에 따른 관광·유통업계의 불황과 고용위기' 간담회에서 이성종 민주노총서비스연맹 정책실장은 “화장품, 면세점, 관광호텔 업종의 타격이 크다”면서 “현재 상황이 지속될 경우 해당업종에서 일하고 있는 노동자들의 고용불안 가능성이 높다”고 밝혔다.

이 실장은 “이미 제주지역의 경우 정리해고 수순을 밟고 있는 경우가 발생하고 있다”면서 “외교적, 정치적으로 해결해야할 사안임에도 아무런 정책결정에 참여하지도 않은 노동자들이 그 피해를 안고 있다”며 즉각적인 사드배치 철회를 주장했다.

실제 정부의 사드배치 결정 후 제주지역의 고용불안은 심각한 상태인 것으로 전해졌다. 제주항공 제주예약센터의 경우 50명이 넘었던 근무인력은 현재 30명이 퇴사하고 20명만 남았으며 중국인 관광객을 운송하는 관광버스는 예약이 뚝 끊긴 것으로 전해졌다.

사드 후폭풍은 제주뿐만 아니라 서울 지역 호텔과 면세점에도 불어 닥쳤다. 서울시내 A호텔의 경우 올해 1/4분기 객실점유율이 전년도 대비 30%이상 급감했고, B면세점은 수익이 감소하면서 매장을 통합해 운영하고 인력을 줄이는 방안을 마련하고 있다.

이날 간담회에 참석한 배재홍 전국유통상인연합회 사무국장은 “실질적으로 큰 피해를 보고 있는 곳은 대기업 협력업체다. 정부에서 사드피해를 입은 소상공인에게 자금지원을 얘기했는데 이는 거치기간 조차도 없는 대출이다. 정부가 국민을 상대로 돈놀이하는 것과 다를 바 없다”고 비판했다.

문경숙 관광통역안내사 노조위원장은 “정부의 사드배치 강행으로 중국어 관통사들의 고용과 생계가 심각한 위협을 받고 있다”면서 “언제부턴인가 여행사들이 저가상품을 출시하면서 적자를 관통사들에게 전가하고 있다. 주무부처인 문체부는 나몰라라하고 있다”고 밝혔다.

김종대 정의당 의원은 "현 중국의 한국 경제 보복은 10단계 중 4단계 수준에 불과한 것“이라며 ”앞으로 제재가 강화되면 반도체 등 한국의 핵심 무역 품목에도 타격을 받을 것이다. 그렇게 되면 중소기업 등에서 대기업으로 사드 악영향이 확대될 것"이라고 밝혔다.
 

6일 오후 서울 여의도 국회의원회관 제2간담회실에서 무소속 김종훈 의원 사회로 '사드배치 강행에 따른 관광·유통업계의 불황과 고용위기' 간담회가 진행되고 있다./사진=시사저널e

저작권자 © 시사저널e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