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구역, 추진위 구성요건 충족으로 첫발 떼…공공기여·초고층 건축 놓고 서울시와 마찰 소지
서울 강남의 요지인 압구정 구현대아파트가 재건축 사업 동의율 50%를 넘기면서 추진에 속도를 낼 것으로 보인다. 다만 서울시는 36층 이상 초고층 재건축 불허 방침을 고수하고 있어 조합과 서울시와의 충돌은 불가피할 전망이다.
27일 부동산업계에 따르면 서울 강남구 압구정 구현대아파트를 포함한 압구정 아파트지구3구역은 재건축 추진위원회 구성을 위한 주민동의율 50%를 달성했다. 지난해 12월 초부터 지난 2월 초까지 두 달 동안 추진위 구성을 위한 주민동의 절차를 진행할 당시에는 48%에 그쳐 기한 내 요건충족에 실패했지만, 관할구청인 강남구청이 주민동의 절차를 상시접수로 전환하면서 최소요건을 갖춘 것이다. 재건축 추진위를 구성하기 위해서는 토지 소유자 절반 이상의 찬성요건을 갖춰야 한다. 여기엔 구현대아파트 재건축을 추진하는 '올바른재건축준비위원회'가 3%에 해당하는 의견서를 최근 추가로 모아 구청에 제출한 게 결정적 요소로 작용했다.
압구정 재건축은 총 9개 구역으로 진행되고 있다. 이 가운데 사업 추진이 상대적으로 빠른 5구역은 28일 추진위 구성을 위한 주민설명회를 개최할 계획이다. 4구역도 5월 중 주민설명회를 열 예정이다. 여기에 이번 3구역의 움직임까지 더해져 2구역(신현대아파트) 등 아직 추진위 구성요건을 채우지 못한 구역이 영향을 받으면서 압구정 재건축 사업 전반에서 속도를 낼 수 있을 것으로 업계는 예상하고 있다.
다만 압구정 일대 재건축 추진위가 평균 45층 높이의 초고층 재건축을 밀어붙이고 있어 향후 서울시 심의과정에서 진통이 예상된다. 서울시는 도시기본계획인 2030 서울플랜에 따라 일반주거지역 내 재건축 최고층을 35층 이하로 제한하고 있다. 이 방침에 따라 강남구 대치동 은마아파트를 비롯한 강남권 주요 재건축 단지의 초고층 계획을 모두 불허했다.
또한 공공기여 등을 둘러싼 소유자들과 서울시의 이견 조정도 재건축 추진에 변수가 될 수 있다. 서울시가 지난해 10월 발표한 압구정 아파트지구 지구단위계획에 2500명에 달하는 구현대아파트 소유자 가운데 80% 이상이 시의 지구단위계획에 반대하는 의견을 담은 주민 종합의견서를 제출한 바 있다. 주민들이 가장 반발하는 부분 가운데 하나는 공공기여를 통해 마련하는 역사문화공원이다. 서울시는 압구정지구 안에서도 알짜 지역으로 꼽히는 구현대아파트 내에 2만5000㎡ 면적의 역사문화공원을 조성한다는 계획이다. 주민들은 공원을 동호대로변으로 옮길 것을 제안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