면세점사업 책임자 검찰 소환 가능성 거론
박근혜 전 대통령에 대해 구속영장을 청구한 검찰이 재단 출연 기업들의 면세점 특혜의혹을 집중적으로 들여다보고 있다. 총수 사면 보다 대가성 입증이 수월할 것으로 판단한 것으로 보이는데, 특히 면세점 사업을 주관한 관세청 고위직으로 검찰 수사망이 뻗어나갈 가능성이 거론되고 있어 주목된다.
복수의 사정기관 관계자에 따르면 국정농단 사태를 수사하는 검찰 특별수사본부가 조만간 면세점 특혜 의혹과 관련, 관세청 고위직을 소환 조사할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전해진다. 한 사정당국 관계자는 “면세점 추가설치와 관련해 관세청 고위직 A씨를 조만간 불러 조사할 것으로 보인다”며 “그는 박근혜 정권에서 면세점 선정과 관련해 정부 눈 밖에 난 인물”이라고 설명했다.
당시 사정에 정통한 사정기관 관계자에 따르면 면세점 선정과 관련해 실세 위치에 있는 A씨가 B씨로 바뀐 뒤 롯데가 면세점 사업권을 추가로 얻게 됐다. A씨는 당시 면세점 선정과 관련 정부 입맛에 맞지 않는 행보를 보인 것으로 전해진다. 결국 A씨는 이후 쫓기듯 조직을 떠나게 됐고 향후 B씨가 후임으로 와 현재 면세점 관련 의혹을 받는 기업들을 선정했다는 의혹이다.
감사원도 면세점 관련 의혹 조사에 속도를 내고 있다. 감사원은 지난 1월부터 관세청에 별도 사무실을 마련한 후 면세점 선정 의혹과 관련해 집중적으로 조사를 펼쳤다. 특히 최근엔 이미 조직을 떠난 감사원 고위직까지 불러 당시 상황에 대해 캐물은 것으로 전해진다. 사실상 면세점 의혹과 관련해 검찰과 감사원이 관세청을 핵심 조사 대상으로 바라보고 있다는 것이다.
대표적인 두 사정기관이 함께 움직이며 마음이 급해진 곳은 SK와 롯데다. 검찰은 SK가 2015년 11월 면세점 사업권을 잃고 미르·K스포츠재단에 자금을 출연했는데 이것이 사업권 재획득을 위한 것이 아닌지 수사하고 있다. 이에 대해 SK측은 “최태원 회장이 박근혜 당시 대통령과 독대한 후 면세점 선정 조건 등이 더 불리하게 바뀌었다”며 면세점 관련 특혜 의혹을 부인하고 있다.
신동빈 롯데 회장은 관세청 면세점 추가 설치 발표 전 박근혜 전 대통령을 독대했다. 이후 K스포츠재단에 75억 원을 추가 지원했다 돌려받았는데 검찰은 이 돈이 면세점 사업권 관련 대가를 바라고 준 돈이 아닌지 의심하고 있다. 검찰은 장선욱 롯데면세점 대표를 참고인 신분으로 불러 조사를 마쳤고 추가 수사를 이어가고 있다.
검찰이 박근혜 전 대통령에 대해 구속영장을 청구함에 따라 관세청 고위 인사들 소환에 속도를 낼 가능성도 높아졌다. 이들을 빼놓고는 면세점 선정 특혜와 관련 퍼즐을 맞추는 게 사실상 불가능하기 때문이다. 검찰은 이미 전‧현직 관세청 직원 2명을 불러 면세점 선정 관련 의혹을 조사한 바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