재단 출연·면세점 선정 간 연관 집중 수사…"면세점 의혹, 박근혜 정권의 특별한 사건"

신동빈 롯데그룹 회장이 20일 오후 서울 서초구 서울중앙지법에서 열린 롯데그룹 경영비리 관련 1차 공판에 출석하며 굳은 표정을 짓고 있다. / 사진=뉴스1

박근혜 전 대통령 조사를 마치고 정치적 부담을 털어낸 검찰이 본격적으로 재계 수사에 착수할 것으로 보인다. 특히 면세점 선정 의혹을 받고 있는 롯데가 다음 수사 대상으로 거론되고 있어 주목된다.

국정농단 사태를 수사 중인 검찰 특별수사본부는 21일 박근혜 전 대통령 조사를 마치고 그 전부터 이어오던 기업 뇌물죄 관련 수사를 이어갈 계획이다. 이미 SK그룹과 관련해선 최태원 회장, 김창근 전 SK그룹 수펙스추구협의회 의장 등 주요 인물들에 대해 조사를 마쳤다. 이 과정에서 검찰은 미르‧K스포츠재단 출연과 면세점 선정 및 총수 사면 간 대가성 여부에 대해 집중적으로 들여다 본 것으로 알려졌다. 김창근 의장은 최태원 회장 사면 사실을 안종범 전 수석에게 미리 듣고 감사 메시지를 보낸 것으로 알려졌다.

다음 차례는 롯데가 될 가능성이 높다. SK관련 수사는 마무리 단계고 사면보단 면세점 의혹이 특혜 관련 정황이 짙게 드러나고 있기 때문이다. 한 사정기관 관계자는 “매년 이뤄지는 사면과 달리 면세점 선정 과정은 이번 정권에서 일어난 특별한 사건 중 하나”라며 “관련 의혹들이 속속들이 드러나고 있어 조만간 추가 소환이 불가피할 것”이라고 전망했다.

검찰은 이미 19일 장선욱 롯데면세점 대표를 참고인 신분으로 불러 조사를 마쳤다. 지난해 1기 특수본에서 시작했던 수사를 진척시켜 나가며 롯데가 재단에 낸 돈이 뇌물 성격을 띠는지 여부를 집중적으로 따지고 있다. 신동빈 롯데 회장은 관세청 면세점 추가 설치 발표 전 박근혜 전 대통령을 독대했다. 이후 K스포츠재단에 75억 원을 추가 지원했는데, 검찰 압수수색을 앞두고 돌려받은 것으로 알려졌다. 그 전에 롯데는 미르·K스포츠재단에 45억 원을 낸 바 있다.

면세점 의혹과는 관련 없지만 CJ 역시 안심할 수 없는 처지다. CJ는 사실상 박근혜 정권 내내 시달려왔다. 직접 박근혜 전 대통령이 이미경 부회장 퇴진을 주문하는 등 기업 경영상 어려움을 겪었지만 손경식 회장의 박근혜 당시 대통령 독대 후 총수가 사면을 받았다는 점은 대통령 독대가 특혜로 이어지는 박근혜 정권 뇌물의혹 패턴에 들어맞는다.

한편 현재 거론되지 않고 있는 한화, 현대자동차 등 타 기업들까지 수사력이 뻗칠지는 미지수다. 현재 어느 정도 의혹이 드러난 기업들에 대한 혐의도 완벽히 입증되지 않은 상황에서 검찰이 새로운 의혹 없이 주요 수사대상 기업을 넓혀나갈 가능성은 낮기 때문이다. 한 수사대상 기업 관계자는 “박근혜 정권에서 눈에 드러나는 혜택을 보지 않았다는 것이 차라리 다행이라는 생각이 들 줄은 몰랐다”고 귀띔했다.

저작권자 © 시사저널e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