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반주거지역 모두 35층이하로 계획…소형임대 300세대도 포함
잠실주공5단지가 일반주거지역에 35층 초과 아파트를 지을 수 없다는 서울시 지침을 수용한 새 정비계획안을 시에 전달했다. 서초구 반포주공1단지에 이어 35층 룰을 받아들인 셈이다. 잠실5단지 재건축조합은 서둘러 정비계획안을 확정해 올해 말로 끝나는 재건축 초과이익환수제 유예 혜택을 보는 현실적 방법을 택했다.
15일 송파구청에 따르면, 구청은 지난 10일 잠실5단지 조합으로부터 전달받은 새로운 정비계획안을 서울시 도시계획위원회 소위원회에 제출했다. 이에 따라 잠실5단지 재건축 정비계획안은 조만간 시 도시계획위원회의 심사를 받게 된다.
조합이 새롭게 마련한 정비계획안은 서울시 도시계획위원회의 지적사항을 대부분 수용했다. 조합은 새로 마련한 정비계획안에 잠실역사거리 인근 준주거지역을 제외하고 3종 일반주거지역에 들어서는 아파트를 모두 35층 이하로 계획했다. 이에 따라 동 수는 기존의 40개동에서 44개동으로 늘어나게 된다.
도계위의 또 다른 지적사항인 임대아파트 배치에 대해서도 한발 물러섰다. 당초 정비계획안에는 임대아파트를 한 가구도 배치하지 않았다. 학교 공원 등을 통한 기부채납(공공기여) 비율이 20%에 달한다는 이유에서다. 그러나 도계위는 임대가구 없는 재건축은 불가능하다고 지적한 바 있다. 이에 조합은 수정안에서 단지 내 공연시설과 공원을 축소하고 소형임대아파트 300여가구를 추가했다.
업계는 새로운 정비계획안이 시의 요구사항을 충분히 반영한만큼 무난히 심사를 통과할 것으로 내다보고 있다. 당초 조합은 롯데월드타워와 인접한 지역은 준주거지역으로 종상향해 최고 50층 높이의 복합건물 4개동을 짓고, 나머지 3종 일반주거지역에는 최고 50층 높이 1개동을 포함해 평균 35층 아파트를 짓는 내용의 정비계획을 추진해왔다.
그러나 도계위는 지난달 일반주거지역에 50층 높이를 설계한 것은 서울시의 높이 및 경관계획 기준인 2030 서울플랜에 맞지 않는다며 보류 판정을 내렸다. 서울시는 일반주거지역 아파트 최고층수를 35층으로 제한하고 있다.
한편 1978년 준공된 잠실5단지는 15층짜리 3930가구 규모로, 송파구 한강변 재건축 단지 대장주로 꼽힌다. 롯데월드타워가 다음 달 개장을 앞두고 있어 송파구 이 아파트를 찾는 투자수요도 늘고 있다. 현대자동차그룹 글로벌 비즈니스센터 신사옥 건설과 잠실종합운동장 국제교류복합지구 개발 등 다른 호재도 풍부해 기대감이 크다.
인근 J공인중개업소 관계자는 “조만간 서울시의 심의를 받고 이르면 다음달 중으로 결과가 나올 것으로 예상한다”며 “최근 최고 50층 재건축이 조건부로 가능할 수 있다는 서울시 발표에 기대감이 커지면서 가격이 상승했다. 향후 재건축에 속도가 붙을 수 있어 추가상승 여력은 충분하다”고 내다봤다.
잠실5단지가 서울시의 가이드라인을 따르게 됐지만 초고층 아파트 건립을 둔 논쟁은 현재진행형이다. 한강변 아파트의 경우 서초구 반포동 일대 아파트들이 서울시의 35층 룰을 수용했지만, 아직까지 강남구 대치동 은마아파트와 압구정 현대아파트 재건축 추진위는 시에 50층 허용을 요구하고 있다.